호주 '벌금 폭탄' 주의, 방울토마토도 신고 안 하면 수백만 원 벌금

  • 등록 2025.07.19 23:23:48
크게보기

입국 식품 미신고·신호위반 등 사소한 실수가 거액의 벌금과 추방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방 속 방울토마토 몇 알이 400만 원 가까운 벌금으로 돌아왔다.”

 

호주 시드니의 가족을 방문하려던 모녀가 입국 심사 과정에서 미처 꺼내지 못한 토마토 때문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받은 사연이 전해지면서, 호주의 엄격한 검역·교통 규정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호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검역과 교통 규제를 시행하는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여행자와 이민자 모두에게 ‘벌금 폭탄’ 경고가 내려지는 이유다. 단순한 부주의라도 수백만 원에 달하는 벌금은 물론, 비자 취소, 강제 출국, 입국 금지 같은 중대한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토마토 한 알도 신고 대상”…입국 식품 규정, 세계 최고 수준
호주는 입국 시 모든 음식물과 동식물성 제품에 대해 반드시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벌금은 물론 추방까지도 가능하다.

 

실제 SNS 플랫폼 레딧(Reddit)에는 한 유럽 여행객이 가방에 넣어둔 치킨 샌드위치를 신고하지 않아 3,300호주달러(약 300만 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는 사례가 공유됐다.

 

여행사 관계자는 “생과일, 생야채, 견과류, 육류, 유제품 등은 반입이 금지된 품목이며, 단순한 간식도 입국카드에 반드시 기재하고 신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탐지견을 활용한 정밀 검색과 입국 심사 과정은 매우 체계적으로 운영된다. 신고 누락은 고의 여부와 무관하게 법 위반으로 간주되며, 외국인 방문객이라도 예외는 없다.

 

“0.5초 신호위반도 처벌”…단속은 철저하고 예외 없다
호주의 교통 규정도 매우 엄격하다. 지난 5월 멜버른을 방문한 여행객은 0.5초간 신호를 어겼다는 이유로 494호주달러(약 44만 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고 SNS에 밝혔다.

 

현지의 고해상도 단속 카메라는 위반 장면을 정밀하게 포착하며, 사후 해명이나 감경 여지는 사실상 없다. 위반이 누적될 경우 운전면허가 정지되거나 영구 제한될 수도 있다.

 

한 이민자는 “호주에 정착한 뒤 한국식 운전 습관을 고치지 못해 벌금을 7번이나 냈다”며 “노란불에 멈추지 않으면 바로 단속된다”고 전했다.

 

특히 스쿨존, 주차, 과속 등 교통 규정은 일반 운전자에게도 까다로운 수준이다. 일부 과속 사례는 벌금이 800호주달러(약 72만 원)를 넘기도 한다.

 

“괜찮겠지”는 금물…입국 전 정보 확인은 필수
전문가들은 “호주는 법규 위반에 있어 예외를 두지 않는다”며 “사소한 방심도 큰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입국 시 음식물·식물·동물 관련 물품은 모두 신고해야 하며, 운전 시에도 현지 규정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행사 측은 “단체 여행의 경우 가이드가 주의를 주지만, 개별 여행자는 입국 전 사전 정보를 놓치고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다른 국가와 다른 법·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불이익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다. 호주에서는 법 앞에 예외가 없다는 점을 유념하고, 공식 웹사이트나 관공서 등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강성혁 기자 dealyness@naver.com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원로39 월드타워 304호 | 대표전화 : 031-406-1170 | 발행법인 : 주식회사 몽드 | 발행인 대표이사 : 강성혁  등록일 : 2013년 5월 13일 | 정기간행물번호 : 경기 다50353 | 인터넷신문 : 경기 아 51486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 정영한 / TEL : 031-352-1175 / sdjebo2@naver.com 한국다문화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한국다문화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 sdjebo@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