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chatka’s 8.8‑Magnitude Quake and Tsunami Alerts: Where Should You Evacuate if an Earthquake Hits Korea?

  • 등록 2025.08.08 10:42:23
크게보기

캄차카 8.8 대지진, 쓰나미 발생…지진 땐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

 

The monstrous magnitude‑8.8 earthquake on Russia’s Kamchatka Peninsula on July 30, 2025, served as a stark reminder that seismic safety is global — not confined to distant places. With recent major quakes striking neighboring Japan, Taiwan,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can no longer be assumed earthquake‑free. Seismic activity is increasing in frequency and strength worldwide.

 

In early 2024, a 7.6‑magnitude quake rocked Ishikawa Prefecture in Japan, claiming over 200 lives. Weeks later, a 7.1 event in Xinjiang endured in freezing conditions. Then in April 2025, Hualien, Taiwan, was struck by a 7.4 quake that toppled high‑rises and sparked tsunami warnings. Now Kamchatka has experienced possibly the strongest quake of the region in decades. Tsunami waves 3–5 meters high were recorded locally, prompting mass evacuations in Japan, Hawaii, and more.

 

According to South Korea’s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peninsula records an average of around 50 seismic events per year detectable by modern instruments, including roughly ten that are felt by residents (magnitude ≥ 3). High‑profile quakes such as those in 2016 (Gyeongju, 5.8) and 2017 (Pohang, 5.4) significantly heightened public awareness. Many of recent events occurred undersea—with tsunami threat beyond shaking alone. Experts warn that rising seismic activity may be tied to tectonic stresses altered by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leading to more frequent compound or cascading disasters.

 

When an earthquake strikes, the most critical first step is personal safety. Indoors, protect yourself by taking cover under a sturdy table or furniture and avoid elevators. Once shaking subsides, calmly exit via the nearest door or emergency exit. Outdoors, move away from buildings, overhead signs, or glass into an open area. Drivers should pull over safely and tune in to radio or mobile alerts. If you're near the coast and feel tremors, immediately move to higher ground—tsunamis can arrive within minutes. Do not return to the shoreline until official all-clear is declared. Secondary waves may follow the initial one.

 

Regular participation in school or workplace drills, planning family reunion spots, and checking emergency kits are all vital preparedness actions. Using disaster apps like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Safe Step” app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Weather Alert” app lets you locate shelters and receive real‑time warnings, improving response speed even before a quake hits.

 

Earthquakes are unpredictable—but preparedness isn’t. Amid heightened seismic threats, individual awareness and small daily steps help build collective resilience.

 

 

 

 

(한국어 번역)

전 세계 강진 잇따라…'안전지대'는 없다, 일상 속 실천이 재난 대비 첫걸음

행정안전부 '안전디딤돌' 등 재난 정보 앱 활용하면 대피소·경로 한눈에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은 단순히 외국의 큰 사건으로만 볼 수 없다. 일본, 대만, 중국 등 인접 국가에서 잇달아 강진이 발생하고 있는 지금, 한반도 역시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곳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지진은 더욱 빈번하고 강력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24년 1월, 일본 이시카와현에서는 규모 7.6의 지진이 새해 첫날을 뒤흔들며 2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불과 몇 주 뒤인 1월 23일에는 중국 신장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일어나 혹한 속 구조작업이 이어졌다. 2025년 4월에는 대만 화롄에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해 고층 건물이 붕괴되고,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이번 러시아 캄차카 지진은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도 가장 강력한 사례로, 동북아시아 전체가 현재 지진의 위협 아래 놓여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에서도 연평균 50회 이상의 지진이 관측되고 있으며, 2016년 경주 지진(규모 5.8), 2017년 포항 지진(규모 5.4) 이후에는 내륙지진에 대한 국민적 불안도 크게 높아졌다. 특히 최근 발생하는 지진은 해저 지진인 경우가 많아, 단순한 진동 피해를 넘어 쓰나미로까지 이어질 위험이 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진의 증가가 단순한 자연현상에 그치지 않고,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지각 균형 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기후위기 시대에는 한 번의 재난이 다른 재난을 불러오는 ‘복합재난’ 양상이 빈번하다고 지적한다.

 

이런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재난이 일어났을 때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대비다. 제도적 보완은 정부의 몫이지만,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준비할 수 있는 것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몸을 보호하는 것’이다. 건물 안에 있다면 책상 밑이나 튼튼한 가구 아래로 들어가 머리를 감싸야 하며,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흔들림이 멈춘 뒤에는 가까운 출입구나 비상구를 통해 천천히 밖으로 나가야 한다.

 

밖에 있을 경우에는 건물, 간판, 유리창, 가로등 등 낙하 위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운전 중이라면 즉시 차량을 도로 한쪽에 정차하고, 라디오나 스마트폰을 통해 재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해안 지역에서 지진을 느낀 경우에는 즉시 고지대로 대피하는 것이 원칙이다. 쓰나미는 지진 직후 수십 분 안에 해안가를 덮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판단하고 움직이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핵심이다. 또 첫 번째 물결이 지나간 후에도 두 번째, 세 번째 쓰나미가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보가 해제되기 전에는 절대 해안가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학교나 직장에서 실시하는 대피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가정에서도 정기적으로 ‘지진 대피 경로’와 ‘비상 물품’ 점검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중요하다. 가족이 떨어져 있을 때를 대비해 연락 방법과 만나는 장소를 미리 정해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상 속 준비를 조금 더 쉽게 도와주는 도구로는 재난 정보 앱 활용이 있다.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안전디딤돌’ 앱은 내 주변 대피소 위치를 미리 확인할 수 있고, 지진이나 쓰나미 발생 시 실시간 경보를 제공한다. 기상청의 ‘날씨알리미’ 앱이나 포털 위기 알림 서비스도 유용하다. 미리 설치해두고 사용하는 습관만으로도 위험에 대처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심민정 기자 minot0930@daum.net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원로39 월드타워 304호 | 대표전화 : 031-406-1170 | 발행법인 : 주식회사 몽드 | 발행인 대표이사 : 강성혁  | 편집인 : 강성혁 신문사업등록일 : 2013년 5월 13일 | 정기간행물번호 : 경기 다50353 | 인터넷신문사업등록일 : 2017년 2월 14일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 51486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 정영한 / TEL : 031-352-1175 / sdjebo2@naver.com 한국다문화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한국다문화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 sdjebo@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