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문화뉴스 = 강성혁 기자 | 법무부는 2023년 4월 1일부터 등록외국인(국내거소신고 외국인 포함)을 대상으로 기존 보안요소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편리성과 디자인이 한층 개선된 신형 외국인등록증을 발급한다고 전했다. 변경되는 신규 등록증은 육안식별 편의성 제고를 위해 사진 색상을 흑백에서 컬러로 변경하며, 사진 크기 35% 확대, 디자인 개선을 위한 발급정보 정렬 및 사진 위치 좌 →우 변경, 외국인등록증에 인쇄된 정보를 QR코드로 판독할 수 있도록 편의기능 추가 등 외국인 등록증을 개선했다. 이는 최신화된 인쇄기술 적용에 따른 보안 요소를 저해하지 않고도 그간의 본인 식별 곤란 등의 개선 의견을 반영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민간에서는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외국인등록증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다문화뉴스 = 강성혁 기자 | 경기도는 2023년부터 보육불평등 완화를 위해 경기도 내 외국인 아동에게도 경기도 차원의 지원을 제공한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미취학 외국인 아동이 있다. 이들에 대한 정부의 보육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지만 경기도가 지원에 나섰다. 기존에 만 0~5세의 외국인 영·유아를 맡는 어린이집에 운영비를 지급하는 방식은 사라진다. 대신 외국인 부모들 에게 지원액을 확대 지급하는 것이다.지원 금액은 1인당 월 10만원이며 대상은 경기도 내 만 3~5세 자녀를 둔 외국인 부모이다. 해당 사업을 위해 경기도는 2023년도 예산안에 관련 예산 61억 원을 편성해 제출했으며, 외국인 자녀 보육지원 사업을 개편하며 진행 중인 어린이집 운영비 지원 대신 외국인 자녀 보육료 지원사업으로 변경·확대해 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기존 만 0~2세 영아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경기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지원 없이 자 체적으로 추진하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만 0~2세 영아 지원 등을 위해 정부에 건의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외국인 자녀에 대한 보육료 지원을 위해 지방비로 우선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여 많은 관심을
한국다문화뉴스 = 김가원 기자 | 가평군은 쓰레기 처리비용의 지속적인 원가상승 요인에 따라 폐기물처리 수수료 현실화를 위해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을 인상한다고 전했다. 쓰레기 종량제 봉투는 일반용, 매립용, 음식 물용, 재사용 규격과 크기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 ▲1L(30원 동결) ▲2L(50원→60원) ▲3L(70원→90원) ▲5L(120원→150원) ▲ 10L(250원→300원 ▲20L(500원→600원), ▲50L(1,250원→1,500원) ▲75L(1,870원 →2,250원)으로 변경된다. 규격마대 60L의 경우 기존 3,750원에서 4,500원으로 가격이 인상된다. 이외에도 음식물 종량제 봉투 최소용량이 2L에서 1L로 추가 되며 환경미화원의 안전을 위해 100L 종량제 봉투 제작이 중단된다.
한국다문화뉴스 = 소해련 기자 | 안산시는 근로의사가 있는 저소득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안정과 자립희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3년 상반기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이달 9일부터 13일까지 모집한다고 3일 밝혔다. 대상 사업은 희망일자리, 지역공동체일자리, 안전대응일자리사업 등이며 근로기간은 3월 6일부터 6월 16일까지 4개월이다. 신청자격은 사업개시일(3월 6일) 현재 근로능력이 있는 만 18세 이상(외국인등록번호를 소지한 자 포함)으로,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이면서 재산이 4억 원 미만인 안산시민이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급여수급권자, 공무원의 배우자 및 자녀, 지역공동체일자리는 연속 2년 반복참여자, 희망일자리 및 안전대응일자리 사업은 연속 2회 참여자는 사업에서 제외된다. 근무시간은 65세 미만 참여자 기준 주 20시간으로, 한 달 근로 시 임금으로 대략 100만원(주휴 및 월차수당, 간식비 포함) 내외를 수령하게 된다. 신청자는 신청기간에 맞춰 신분증과 건강보험증, 본인 및 세대원 도장을 가지고 주민등록지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되고, 선발자 발표는 3일 2일 선발자에게 개별통보하며 안산시누리집(www.
한국다문화뉴스 = 강성혁 기자 |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213만 4568명으로 집계됐다. 전북 인구수 (178만7053명)보다는 많고, 충남(217 만5960명) 도민수에는 조금 못미친 수준이다. 우리나라 총인구(5173만8071 명) 대비 외국인 비율은 4.1%를 기록 했다. 외국인주민 수를 첫 조사했던 2006년의 53만 6,627명에 비해서는 약 4배 정도 증가했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1 월1일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 우리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164만9967명(77.3%)으로 전년비 4만 5676명(2.7%) 줄었다. 한국국적취득 자는 21만880명(비중 9.9%)으로 1년 전보다 1만1752명(5.9%) 증가했다. 외국인주민자녀(출생)수는 27만3722명 (비중 12.8%)으로 전년비 1만2076명 (4.6%) 늘었다. 전체 외국인의 59.8%인 127만5954 명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경기도에 71만4497명(33.5%)이 거주ㅍ하고, 서울과 인천에 각각 20.0%(42만6,743 명)와 6.3%(13만4,714명)이 살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서 생계활동을 하고 있는 외국인은 50.4%에 달했다. 총인구 대비
In celebration of 2023, the Year of the Rabbi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In Kyu),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has selected “Silver Ewer with Incised Rabbit and Crow Designs” as its “Curator’s Choice from the Royal Treasures” for the month of January. Starting January 2, the ewer will be on display in the Korean Empire Gallery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museum. It will also be presented online in a YouTube broadcast on the channel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Silver ewers were used to
한국다문화뉴스 = 소해련 기자 | 화성시가족센터‘아이돌봄서비스’는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인해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가정으로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지원 사업으로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www.idolbom.go.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화성시가족센터 아이돌봄지원사업팀 전화(031-267-8782~3)로 하면된다.
한국다문화뉴스 = 강성혁 기자 | 이천시와 이천시가족센터(박명호 센터장)는 지난12월 30일부터 1월 5일까지 이천시민 가족 302명을 대상으로 2022년 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2023년 프로그램 욕구조사를 실시했다. 센터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99%가 보통 이상(보통, 만족, 매우만족)의 응답을 하였고 프로그램 중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을 묻는 항목에서 1위는 비대면체험활동(46.4%), 2위 대면체험 및 문화활동 28.1%순이었다. 도움이 되었던 프로그램 진행방식으로 대면+비대면방식(38.1%)을 응답하였으며, 센터이용시 불편한 점으로는 불편함없음70.5%외 주차불편에 대한 응답이 14.9%있었다.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분야로는 부부교육, 소통교육, 자녀양육 등의 가족관계 향상교육 (61.6%), 가장 희망하는 가족교육/체험은 요리 및 베이킹프로그램(61.9%)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자녀의 연령대별 프로그램 내용, 선호 하는 나들이캠프장소, 참여가능시간대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취합했다. 센터는 매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보다 많은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위해 노력 하고 있다.
한국다문화뉴스 = 심민정 기자 | 하남시는 최근 일부 언론이 보도한 ‘명문고 육성사업’과 관련, “이 사업은 현재 하남시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위해 서울 인근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있는 실정에서, 타 지자체로의 우수인재 유출을 방지하고 진학률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한 사업”이라며 “고교 서열화를 조장하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13일 밝혔다. 특히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SKY(서울, 고려, 연세대) 진학률을 기준으로 예산 지원한다’는 내용은 전혀 사실과 다르며, 첨부된 자료는 내부 사업 추진계획서로, 관내 일선 고등학교로 공문을 하달하지 않았음에도 잘못된 보도가 된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역 우수인재를 육성하고자 학교 역량강화를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의 사업계획서를 받아 공모심사 절차를 통해 지원할 예정이며, 성적 상위급 학생 특별반 편성과 자율학습을 요구한 적 또한 없음을 명백히 밝혔다. 하남시는 지난 2019년부터 시행해온‘좋은학교 만들기 사업’을 통해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우수반 운영, 방과후 수업, 진로진학 프로그램 등에 대한 운영비를 모든 학교에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는 관내 고등학교 10개교를 대상으로 공모
한국다문화뉴스 = 정영한 기자 | 외국인종합안내센터 1345는 국내 체류외국인을 위한 출입국민원 상담 및 생활편의 안내,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및 비영리민간기관의 외국인 관련 업무수행에 필요한 3자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약 20여개 국가 언어로 상담이 가능하기에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이 알아 놓으면 편리하다. 1345콜센터는 일반전화, 휴대폰 관계 없이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1345로 연결 후 ARS안내에 따라 원하는 언어의 번호를 누른뒤 *표를 누르면 해당 언어로 상담이 가능하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국내 체류에 필요한 각종 생활정보와 출입국. 체류관련 민원 상담 서비스를 외국인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한국다문화뉴스 = 정영한 기자 | 등록외국인의 연간 소득금액 신고시 필요한 '소득금액증명' 제출을 생략하는 등 관련 절차가 간편해졌다. 직업 및 연간 소득금액 신고 취업이 가능한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은 신고 대상으로 주재(D-7), 기업 투자(D-8), 무역경영(D-9), 교수(E1)~선원취업(E-10), 거주(F-2), 재외 동포(F-4), 결혼이민(F-6), 방문취업 (H-2)이 해당된다. 신고는 각종 체류허가 및 신고 시 하면 된다. 외국인등록(거소신고), 체류 자격 변경허가, 체류자격외 활동허가, 근무처변경, 추가 허가(신고), 체류자격 부여허가, 체류기간 연장허가 및 직업 변경 시 해당 된다. 신고는 직업 신고의 경우 각종 체류 허가 신청 시 '외국인 직업 신고서(별첨 1)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연간 소득 금액을 신고할 경우 각종 체류허가 신청 시 '통합신청서(신고서)' '연소득금 액'란에 연 소득금액 작성하여 제출(단, 재외동포(F-4) 자격은 연 소득금액 기재 할 필요 없다. 재학사항(초, 중, 고) 신고 만 6세 이상 만 18세 이하의 등록(거소) 외국인이 신고대상이다. 신고는 초, 중, 고교 최초 입학 또는 재학 여부 변경(상급학교
한국다문화뉴스 = 소해련 기자 | 차례와 제례는 다릅니다. 제사란 천지와 조상 등을 공경,추모하는 행위나 의례를 총칭합니다. 주자는 '가례'에서 조상과 돌아가신 부모를 추모하는 의례로 시제, 기제, 묘제 등을 말하였습니다. 차례는 설, 한식과 같은 절일에 음식과 과일, 술과 차를 올리며 지내는 약식제사 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차를 올리지 않지만, 여전히 차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1. 차례는 설날과 추석 같은 명절에 지내는 것이고, 기제는 조상 부모의 돌아가신 날에 지냅니다. 2. 차례는 명절 음식(송편, 떡국 등)을 중심으로 올리고, 시제와 기제에는 밥과 국을 올립니다. 3. 차례는 약식이므로 한 번만 술을 올리고(단, 첨잔을 할 수 있습니다) 축문을 읽지 않습니다. 시제와 기제는 반 드시 세 번 술을 올리고 축문을 읽습니다.
There are three main meanings behind the origin of tteokguk, which is a representative New Year's food. The first is to start the new year with a clean mind and body, so people ate tteokguk made with clear water and white rice cakes. The second is to live a long life, like the long rice cakes used in tteokguk. The third is to wish for prosperity, as the round shape of the rice cakes is like a coin and is believed to bring good fortune. Until the Goryeo dynasty, people ate manduguk (dumpling soup) instead of tteokguk. It was on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tteokguk made with rice cakes cut
한국다문화뉴스 = 소해련 기자 | 올해부턴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이 도입되고 만 나이도 시행되는 등 분야별로 다양한 제도와 법규들이 달라져 알아둘 필요가 있다.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소비기한 표시제’가 시행된다. 유통기한 표시제는 식품의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인 유통기한을 식품에 표시하는 것으로 1985년 도입된 이래 38년 만에 변경되는 것이다.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식품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의미한다. 유통기한은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으로 대다수 소비자는 이를 폐기의 시점으로 착각해 식품을 폐기해왔다. 이로 인한 음식물쓰레기 발생 및 환경 오염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그동안 유통기한은 표기일 이후로도 일정 기간 안전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대부분 소비자가 이를 식품 폐기 시점으로 인식하면서 과도한 식품 폐기 손실비용을 발생시킨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식품 포장재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인정되는 기간인 소비기한을 표시하자는 논의가 이어졌고, 지난해 8월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서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됐
한국다문화뉴스 = 김정해 기자 | 국가에서 비용을 지원하는 국가건강검진은 출생연도에 따라 신청할 수 있다. 2023년은 홀수 해이므로 홀수년도에 출생한 사람들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하려면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본인인증 후‘건강검진 대상조회’버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20~30대는 2년에 한 번씩 기본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 검사 항목은 혈압, 체중과 키 측정을 통한 비만도, 혈액검사(A형, B형 간염 및 간 기능검사, 고지혈증, 당뇨병, 빈혈), 매독, 에이즈, 소변검사, 결핵 등을 발견하는 흉부 X-선 등이 있다. 30대 여성의 경우 유방암 검사를 추가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만 20세 이상 여성 경우 자궁경부암 검진도 잊지 말고 받는 것이 안전하다. 위험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는 40~50대는 건강 관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한국인의 5 대 암 검진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을 포함한 정밀검진이 필요하다. 특히 가족 중 특정 암을 앓았던 사람이 있다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60세가 넘으면 중대 질병으로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