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4 (목)

  • 맑음동두천 7.4℃
  • 맑음강릉 12.2℃
  • 박무서울 8.2℃
  • 맑음대전 9.2℃
  • 구름많음대구 9.0℃
  • 구름많음울산 11.0℃
  • 구름조금광주 6.7℃
  • 구름많음부산 10.3℃
  • 구름조금고창 8.0℃
  • 구름많음제주 12.6℃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6.3℃
  • 구름조금강진군 7.8℃
  • 구름많음경주시 10.0℃
  • 구름조금거제 10.5℃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한국의 전통춤 여섯번째 이야기, ‘승무’

8064583085.jpg

 

‘승무’는 춤꾼들이 가장 많이 추고 또 배우고 싶어 하는 춤이라고 한다. 한국의 전통춤 중 가장 품위 있는 작품으로 춤가락과 반주 음악의 다양성, 무복과 공간의 조화미로 인해 예술성까지 겸비한 춤으로 인식되어 있고, 기본 춤사위나 구성에서 한국 춤의 기본 틀과 대표적인 춤사위가 응집돼 학문적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승무의 춤사위는 물 흐르듯이 끊김이 없이 이어지고, 그 내용은 탄생부터 해탈까지의 인생사를 담고 있다. 승무는 우리나라 전통춤의 대표격으로서 1969년 7월 4일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승무의 유래]

승무라는 명칭에서 불교의 색채를 느낄 수 있지만, 그 유래로는 불교설 이외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기원설이 있다.민속무용 유래설은 지족선사를 파계시킨 황진이 무용설로 조선왕조 때 황진이가 수도승 지족선사를 파계시킬 목적으로 세모시 장삼에 한모시 고깔을 쓰고 다홍장삼을 멘 승복차림으로 교태로운 춤을 춰 끝내 지족선사를 파계시켰다는 설이 있고, 어느 파계승이 백팔번뇌를 잊으려고 북을 두드리며 추기 시작한 춤이 승무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과,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길 가던 도중에 8선녀가 노니는 광경을 보고 사내의 괴로운 욕정을 광대 무량한 불법에 귀의하므로 법열과 해탈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불교의식 무용 중 ‘법고’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승려 차림을 닮은 무복도 불교 기원설에 무게를 두게 한다.

 

[승무의 구성]

승무의 구성은 크게 염불과장, 타령과장, 굿거리과장, 법고-당악 과장, 느린 굿거리과장으로 되어 있으며 각 과장에서 곧바로 장단변화를 주지는 않고 넘김채의 역할을 하는 잦은장단이 들어가 자연스러운 가락 변화(變化)의 예고(豫告)와 속도 변화의 완충적(緩衝的) 역할을 한다.

(*과장이란 장면을 뜻한다)

 

①염불과장

우주의 탄생과 생명의 씨앗이 잉태되어 태어나는 시작을 알리는 과장. 진중한 무게를 느끼며 긴 호흡을 내부 깊은 곳으로부터 끌어내어 그 기운이 무한으로 뻗어나가고 멋이 짙게 깔려있는 승무의 대표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넘김채: 도드리 장단: 타령과장으로 넘어가는 타령과 염불의 연결 과장

 

② 타령과장

경쾌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며 노동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이다. 직선적인 춤사위를 이루고 있고, 이를 통해 외향적인 활달함을 표현하는 도약(塗藥)과 미약(媚藥)의 춤사위를 이루고 있다.

 

③ 굿거리과장

굿거리 과장에서는 생로병사, 희로애락 등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표현한다. 타령장단과 비슷한 4박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교와 묘미(妙味)가 춤의 멋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하는 섬세함을 보여주는데 타령과장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 굿거리에서는 좀 더 빠른 리듬에 기교를 부드러우면서 둥글게 표현하고 있다.

 

9-96-3954.jpg

 

④ 북(법고)가락과 당악과장

 춤꾼이 직접 북채로 북을 치며 당악으로 이어 나간다. 춤은 빠르고 경쾌한 발의 움직임이 섬세하고, 날렵하여 북 치는 과장에서 그 기운이 이어져 절정에 이르는 장이다.

 

⑤ 느린 굿거리 과장

 모든 춤을 마무리 짓는 부분으로 앞선 과장의 경쾌하고 시원한 부분을 털어 버린 듯 하고 북을 치던 손을 다시 장삼자락에 넣어 춤을 추게 되는데 이때에는 완만한 정리의 단계 성격을 갖고 크고 많은 움직임은 없다. 북 소리가 멈춰지면서 느린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감정을 가라앉히고 춤이 끝나면 두 손을 합장하고 앞을 보며 끝낸다.

 

 

[승무 음악 대풍류, 삼현육각]

 대풍류는 음악으로 감상하였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삼현육각이라 함은 한국 전통음악의 악기 편성법으로 향피리2, 젓대(대금), 해금, 북(좌고), 장구를 사용하는데, 주로 무용 반주를 삼현육각이라 한다. 

 

963-594-6.jpg

 

조선시대의 화가 김홍도의 그림 ‘무동’은 이러한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그림의 왼쪽 위를 보면 벙거지를 쓰고 매달아 놓은 북을 치고 있는 사내가 있다. 좌고를 치는 중이다. 그 오른쪽의 갓을 쓴 사내는 장구를 치고 있고, 또 그 오른쪽의 사내 둘은 피리를 붙고 있다.

 

[참고문헌]

-송준호 ‘다시 만난 전통춤 ‘고깔 아래서 피어나는 나비의 춤 승무’ 국악누리 2020

-손영미 “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공간 구성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 예술대학원, 2004

-이정아.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이병옥,「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승무 비교연구」, 노리 출판사.2003

-성경린,「한국전통무용」, 일지사.1979

 

 

지금까지 전통춤 이야기를 써오면서, 직접 추어보지도 체험하지도 못한 춤은 승무가 처음이다. ‘승무’의 예술성과 중요도를 생각하면 훨씬 앞부분에 나왔어야 했지만, 경험하지 못한 춤이라 선뜻 글을 쓴다는 것이 부담이 됐던 것 같다.

필자에게 ‘승무’는 ‘춘앵전’을 처음 봤을 때 그랬듯이(법고 북가락이 나오기 전까지는) 약간은 지루함을 느끼며 봤던 춤이었다. 하지만 이번 칼럼을 쓰게 되면서 조금은 승무의 예술성과 기품 있는 춤사위를 알게 되었고, 어느새 추어보고 싶은 춤이 되었다.

 

 

윤지현.jpg

 

[필자소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오랜시간 디자이너와 디렉터로 활동했다.

한국 전통춤은 늦은 나이에 접했지만, 많은 명무 선생님들의 춤을 보고 또 직접 배우면서

한국인의 한/멋/흥을 담고 있는 매력적인 한국 전통춤을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에 칼럼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