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9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한국의 전통춤 아홉번째 이야기, '한량무'

여성춤이 주를 이루는 전통춤 공연에서 ‘한량무’는 대표적인 남성춤이다(간혹 갓을 쓰고 남장을 한 여성 무용수도 있다).

 

‘한량’이란 고려시대 말~ 조선 초기, 무과에 낙방한 양반을 일컫던 말로 관직을 얻을 생각 없이 놀고 먹었지만, 풍류를 알고 의기 있고 씩씩한 사나이의 별칭이었다.

 

한량무는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데, 우리가 무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홀춤 한량무와 한량, 승려, 기생, 별감 등이 등장하여 남녀 삼각관계를 묘사한 극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가 있다.

 

 

1.jpg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는 한량과 승려가 한 여인을 유혹하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한 무언무용극으로 조선 중기 이후 남사당패(南寺黨牌) 중 무동들에 의해 놀았던 것인데 그 후 조선 말까지 계속해서 연행되었으나 남사당패가 분산되면서 1910년 이후 이 춤은 어른의 무용으로 기방에서 주로 추어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교방가요의 승무(僧舞)의 내용과 구성이 한량무와 같으므로 승무의 유래설에 의한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소재로 삼은 춤이라는 설, 탈춤의 소무(小巫)와 노장(老長)의 대무(對舞), 포도대장(捕盜大將)과 소무의 애정장면과도 관련되었다는 탈춤과 연관설도 있다.

 

 

[홀춤 한량무]

 

이러한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를 바탕으로 시대적·환경적 조건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춤이 홀춤인 한량무다. 이 춤은 1970년대 공연예술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고,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쳐 다양한 형태의 홀춤인 한량무가 등장하였다. 

 

이는 남성 춤꾼들이 자신의 스타일로 변모된 다양한 색깔의 한량무를 무대화하였기 때문이다. 한량무는 대부분 선비의 고고한 정신을 몸짓으로 풀어내고 있다. 춤의 장단은 굿거리-자진모리-굿거리로 구성되었으며, 복식은 흰 바지저고리·흰 도포를 입고 검은 갓을 쓰고 부채를 든다.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5호 한량무(조흥동)와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진주한량무(정행금)가 있고,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김진홍),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44호 한량춤(김무철)은 홀춤의 한량무이다.

 

 

[원류 한량무 vs 조흥동류 한량무]

 

한량무로 유명한 춤꾼 월륜 조흥동 선생님은 2021년 3월 ‘조흥동의 춤의세계’ 공연무대에서 두 가지 형식의 한량무를 모두 무대에 올리셨다.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를 ‘원류 한량무’ 라는 작품명으로, 조흥동 선생님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홀춤) 조흥동 한량무도 같은 공연무대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2.jpg

 

조흥동류 한량무 

 

천하를 품을 듯 한 기상으로 디딤새나 춤사위가 기품과 기개가 넘치는 호방한 남성무로써 보폭이 넓고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동작이 크다. 한량의 마음을 그려내는 것, 세상을 다 품을 것 같았던 포부와 욕심을 버리고, 자연을 벗 삼아 풍류를 즐기며 사는 한량의 모습은 초월자를 닮아있다. 

 

백색 도포, 검은 갓, 술띠, 갓신 차림의 선비가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앉아 있다. 느린 진양조에서 중모리로 가락이 바뀌면, 고고한 학의 자태로 음악을 끌고 다니듯 엇박자 동작이 이어진다. 정갈하며 세련미 넘치는 옛 선비의 고고한 품격으로 빚은 이 춤은 남성춤의 매력을 한껏 보여주며 선비의 회한이 짙게 투영되는 조흥동의 대표작이다. 조흥동은 이번 공연에서 명백하게 정의될 한량춤의 뚜렷한 춤사위와 정형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이코노믹 장석용 객원기자-

 

 

3.jpg

 

김호동류 한량무 

 

선비의 의연한 기품과 내적 자유로움을 암시하는 정중동의 절제된 춤사위와 정중동의 미학을 바탕으로 멋과 흥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으로 우리나라 남성춤의 백미이다. 김호동류 한량무는 이매방 선생의 사풍정감을 바탕으로 경상도 덧뵈기춤과 김호동 특유의 호흡과 남성춤으로 잡고, 풀고, 맺고, 어르는 춤사위로 새롭게 구성되고 완성된 작품이다.

 

 

4.jpg

 

 

참고문헌

 

-성경린/한국의 무용-교양국사총서 24/세종대왕 기념사업회/p212/1976

-조흥동의 춤세계 -한량무를 중심으로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안영화 2003

-한량무 형성 및 춤사위에 관한 연구 - 강선영류를 중심으로 - 용인대학교 대학원 김정임 2002 

-국립국악원 공식블로그 몸짓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량무

-[네이버 지식백과] 한량무

-[한국민속예술사전] 한량무 

 

 

5.jpg

 

[필자소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오랜시간 디자이너와 디렉터로 활동했다.

한국 전통춤은 늦은 나이에 접했지만, 많은 명무 선생님들의 춤을 보고 또 직접 배우면서

한국인의 한/멋/흥을 담고 있는 매력적인 한국 전통춤을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에 칼럼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