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3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

다문화가족 자녀의 43.9%가 청소년… 학령기에 맞춤형 지원 필요성 커져

56849038085406.jpg

 

한국다문화뉴스=소해련 기자ㅣ여성가족부는 27일 전국 다문화가족 15,578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다문화가구는 전체 346,017가구이며 결혼이민자 가구가 82.4%, 기타귀화자 가구가 17.6%이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거주는 56.1%로 ’18년(55.6%) 대비 0.5%p 증가했으며, 동 지역 거주자(76.8%)가 읍면 지역 거주자(23.2%)에 비해 3배 이상 많다.


다문화가족 평균 자녀 수는 2015년 1.02명에서 2018년 0.95명, 작년 0.88명으로 계속 줄고 있다. 자녀를 낳지 않거나 자녀가 독립해 부부만 사는 가구 비율도 직전 조사가 있던 2018년 17.0%에서 30.0%로 크게 늘었다.


전체 국민의 출산율이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국내 출생아 중 다문화 비중은 2020년 역대 최고인 6.0%를 기록했지만, 다문화가족에서도 저출산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생활 여건은 전반적으로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나 귀화자 중 ‘한국 생활에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사람이 37.9%로 3년 전(29.9%)에 비해 많았다.


외국 출신이라고 차별을 받거나(16.4%) 다문화 자녀가 학교폭력을 겪는 경우(2.3%)는 이전 조사에 비해 줄었다. 소득이 월평균 300만원 이상인 가구는 50.8%로 2018년(41.8%)보다 늘었다.


국내 거주한 기간을 살펴봤을 때 15년 넘게 살고 있는 사람이 39.9%로, 열 명 중 네 명 꼴이었다. 이는 3년 전(27.6%)보다 크게 는 것으로, 정착 추세가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가부 관계자는 "15년 넘게 한국에서 사는 결혼이민자·귀화자 비율이 역대 최대치인 39.9%를 기록하는 등 국내 거주 기간이 장기화하면서 학령기에 접어든 다문화 자녀의 비중도 꾸준히 높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한국을 모국으로 여기며 성장하는 다문화 자녀가 늘고 있지만, 진학률은 낮았다. 가족 관계에 대한 만족도도 이전보다 낮아졌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진학률은 전체 국민과 비교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등학교 취학률은 95.3%으로 전체 국민(98.4%)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지만 대학 진학률은 40.5%에 그쳐 전체 국민(71.5%)보다 31%포인트나 낮았다. 


김숙자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은 “우리나라는 자녀 교육에 있어 부모의 관심과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결혼이민자들은 상대적으로 언어 소통이 어렵고 한국 학제 경험과 정보가 부족해서 자녀 교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