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雨季结束,蚊虫肆虐—正确使用驱蚊剂至关重要

  • 등록 2025.08.27 09:54:04
크게보기

장마 끝나자 모기 기승…기피제 사용법 숙지 중요

 

随着梅雨季节与高温天气结束,韩国迎来了蚊虫活动的高峰期,防范蚊媒传染病的必要性也随之上升。特别是在每年8月底至10月初这段期间,包括疟疾、日本脑炎等国内外主要蚊媒传染病会集中暴发,伴随户外活动频繁,个人防护意识显得尤为重要。

 

韩国卫生部门强调,正确使用经过“医药外品”认证的驱蚊剂,是预防蚊虫叮咬最有效的方式之一。驱蚊剂的使用需根据成分及年龄进行区分。例如,常见成分DEET(二乙基甲苯甲酰胺)在浓度低于10%的产品中,可供6个月以上婴儿使用;而浓度超过10%的产品则仅适用于12岁以上人群。其他主要成分如伊卡瑞丁(Icaridin)和IR3535(乙基丁酰乙氨丙酸酯)则不建议用于6个月以下的婴儿,含有对羟基薄荷醇(para-menthane-3,8-diol)的产品建议4岁以上儿童使用。

 

使用时必须选择标有“医药外品”标志的正规产品,并喷洒或涂抹于裸露皮肤或衣物表面的一层薄膜上。切勿使用于伤口、受刺激的皮肤、黏膜、眼睛或嘴巴周围及晒伤部位。儿童使用时应由监护人先喷于自己手上后再代为涂抹。此外,应避免频繁或过量使用。通常效果持续4至5小时,必要时可补涂,但不可一次性喷洒过多。

 

使用驱蚊剂后应立即用肥皂和清水清洗接触部位,曾喷洒过的衣物或袜子也应及时清洗。喷雾型产品不建议直接喷洒在脸部,应先喷在手心后再轻拍面部。如果与防晒霜一起使用,建议先涂防晒霜,再涂驱蚊剂。

 

为加强防蚊宣传,各地政府及公共卫生机构正在积极向市民普及以上防护知识。一些地区还向多文化家庭发放了多语种宣传资料。特别需要注意的是,日本脑炎的传播蚊种多在夜间活跃,因此应尽量减少黑暗时段的户外活动,搭配穿着浅色、宽松衣物,以及使用蚊帐、防蚊纱窗等物理防护措施共同预防。

 

 

 

 

(한국어 번역)

장마와 폭염이 지나고 본격적인 모기 활동 시기가 시작되면서, 모기를 매개로 한 감염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국내외 주요 모기 매개 감염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로, 야외 활동이 잦아지는 만큼 개인별 감염 예방 수칙이 중요한 시점이다.

 

보건당국은 모기 회피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모기기피제의 올바른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기피제는 제품에 따라 사용 연령이 다르며, 성분별로 주의사항이 명확하게 나뉜다. 대표 성분인 디에틸톨루아미드(DEET)는 농도 10% 이하 제품의 경우 생후 6개월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제품은 12세 이상부터 사용 가능하다.

 

또 다른 주요 성분인 이카리딘(Icaridin)과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IR3535)는 생후 6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사용을 피해야 하며, 파라멘탄-3,8-디올 성분은 만 4세 이상부터 사용이 권장된다.

 

제품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 정식 허가 제품을 구매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 위에 얇게 분사하거나 발라야 한다. 하지만 상처 부위, 자극받은 피부, 점막, 눈·입 주위, 햇볕에 탄 부위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며,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가 손에 덜어 도포해주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반복적이고 과도한 사용은 피해야 하며, 효과는 대개 4~5시간 정도 지속되므로 필요 시 다시 사용하되, 과량을 뿌리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기피제 사용 후에는 반드시 비누와 물로 피부를 씻고, 뿌렸던 의류나 양말도 세탁해야 한다. 분사형 제품은 얼굴 부위에 직접 뿌리지 말고 손에 덜어 바르는 방식이 안전하며, 자외선차단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난 뒤 기피제를 덧바르는 것이 권장된다.

 

지자체와 보건기관은 이와 같은 예방 수칙을 중심으로 시민 대상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국어 안내 자료도 배포되고 있다.

 

특히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야간 시간대에 주로 활동하는 점을 고려해 어두운 야외 활동은 최소화하고, 밝고 헐렁한 옷차림, 모기장, 방충망 사용 등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궁위에 시민기자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원로39 월드타워 304호 | 대표전화 : 031-406-1170 | 발행법인 : 주식회사 몽드 | 발행인 대표이사 : 강성혁  | 편집인 : 강성혁 신문사업등록일 : 2013년 5월 13일 | 정기간행물번호 : 경기 다50353 | 인터넷신문사업등록일 : 2017년 2월 14일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 51486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 정영한 / TEL : 031-352-1175 / sdjebo2@naver.com 한국다문화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한국다문화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 sdjebo@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