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Количество школьников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выросло в 3 раза за 9 лет и превысило 160 000 человек… «необходима политическая поддержка»

한국 다문화 학생 16만 명 넘어 9년 새 3배..."정책적 지원필요"

9-79-59-596.jpg

 

С начала ведения статистики в 2012 году доля школьников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в Корее с каждым годом растет.

 

Согласно анализу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данных, проведенному Министерством образования и Корейским институтом развития образования, в 2021 году количество школьников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в Корее составило 160 058 человек, что в 3,4 раза больше по сравнению с 2012 годом, когда такое количество составило 46 954 человека.

 

За последние 9 лет число детей, рожденных в семьях, в которых один родитель является корейцем, а другой – иностранцем, увеличилось в 3 раза и составило 131 522 человека. А число детей, рожденных в семьях, в которых оба родителя являются иностранцами, выросло в 11 раз и составило 28 536 человек. Доля учащихся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была самой высокой в начальной школе и составила 4,2%.

 

В старшей школе доля учащихся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впервые увеличилась на 1%, до 1,1%. Это в 5,5 раза больше, чем в 2012 году.

 

В прошлом году доля учеников начальной школы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увеличивалась по мере уменьшения населенного пункта и составила 3,4% для крупных городов, 3,5% для средних и малых городов, 7,2% для уездных городов и волостей и 11,1% для отдаленных островов.

 

Если рассматривать изменение процент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по странам происхождения родителей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можно увидеть, что доля Японии, которая в 2012 году была самой большой и составляла 27,5%, резко сократилась до 5,2% в 2021 году. Доля Вьетнама, которая составляла 7,3% в 2012 году, резко выросла и заняла первое место, составив 32,2% в 2021 году. Количество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с родителями из Китая увеличилась на 7,2%, с 16,4% в 2012 году до 23,6% в 2021 году.

 

Что касаетс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по регионам, доля школьников с родителями из Вьетнама, составила 50% в провинции Кёнсан-Пукто, 48,4% в провинции Кёнсан-Намдо, 44,7% в провинции Чолла-Намдо и 41,8% в провинции Чолла-Пукто.

 

Доля школьников с родителями из Китая была самой высокой в столичном регионе и составила 33,5% в Инчхоне, за которым следуют провинция Кёнгидо (32,9%) и Сеул (32,2%). В остальных провинциях эта доля была низкой и составила 12,0% в Чолла-Намдо, 14,0% в Канвондо и 14,8% в Кёнсан-Намдо.

 

Из этого видно, что существует четкая тенденц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 регионам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страны происхождения родителей.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е семьи с родителями из Китая в основном живут в столичном регионе и крупных городах, а семьи с родителями из Вьетнама в основном распространены в регионах Йоннам и Хонам.

 

Также в исследовании было отмечено, что необходима политическая поддержка, поскольку учащиеся из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число которых быстро растет, по-прежнему сталкиваются со многими трудностями как в школе, так и за ее пределами.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김관섭 기자ㅣ다문화 학생 조사가 시작된 2012년 이후부터 다문화 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매년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21 교육통계 분석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내 다문화 학생 수는 16만58명으로, 2012년 4만6천954명의 3.4배로 늘어났다.

 

한국인과 외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국제결혼 가정 학생은 13만1천522명으로 지난 9년 사이 3배 늘었고, 외국인 부모 사이에서 출생한 외국인 가정 학생은 2만8천536명으로 11배 증가했다. 다문화학생 비율은 초등학교에서 4.2%로 가장 높다. 

 

고등학교에서도 다문화학생 비율은 1.1%로 처음 1% 늘어났다. 2012년보다는 5.5배 급등한 것이다.

 

작년 초등학교 기준으로 대도시(3.4%)와 중소도시(3.5%), 읍·면지역(7.2%), 도서벽지(11.1%)로 갈수록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높아졌다.

 

부모출신국별 다문화 학생 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2012년 2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일본은 2021년 5.2%로 그 비중이 급감하였으며, 2012년 7.3%였던 베트남은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21년 32.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중국 부모 출신 다문화가정은 2012년 16.4%에서 2021년 23.6%로 7.2%p 증가하였다.

 

부모출신국별 다문화 학생 비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부모출신국인 베트남 출신인 다문화 학생은 경북이 50.0%로 가장 높았고, 경남(48.4%), 전남(44.7%), 전북(41.8%) 등 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부모가 중국 출신인 다문화 학생은 인천이 33.5%로 가장 많았고 경기 32.9%, 서울 32.2%로 수도권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전남 12.0%, 강원 14.0%, 경남 14.8%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출신국에 따라 지역별 분포 경향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부모가 중국 출신인 다문화 학생은 수도권과 대도시에 주로 분포하며, 부모가 베트남 출신인 다문화 학생은 영남권과 호남권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겪는 어려움이 여전히 많은 만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1인 가구 여가지원 사업 ‘솔로앤조이(Solo&Joy)’ 본격 운영

양평군가족센터는 지난 21일부터 양평군 내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돕는 ‘1인 가구 여가지원 사업 솔로앤조이(Solo&Joy)’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여가를 통해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프로그램은 △중장년 1인 가구 대상 ‘힐링타임, 취향 한 스푼’ △노년 1인 가구 대상 ‘행복한 노년, 취미가 있는 하루’ △통합 1인 가구 대상 ‘나를 위한 자유, 함께하는 여가’ 등으로 구성됐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여가활동을 경험하며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정서적 안정감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우영 센터장은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대에 혼자 사는 분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서로 연결되고 지지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족센터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이 참여자분들께 삶의 활력과 정서적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구미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과 문경서 한국문화탐방 진행

구미시 가족센터는 25일 다문화가족 70여 명이 문경을 찾아 한국문화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문화탐방'은 가족이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적 장소를 방문함으로 가족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전날 문경 에코월드를 방문해 고구려와 신라 건축물, 석탄박물관 관람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결혼이민자는 자국의 역사와 비교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가면서 가족 안에서도 상호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 참여자는 "가까운 지역에 아이와 함께 다양한 경험할 장소를 알게 되어 좋았고, 평소 보지 못했던 아이들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라고 했고, 다른 참여자는 "한국문화를 여러 방법으로 가족과 함께 알아갈 수 있어 즐거웠고, 한국과 친해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라고 말했다. 도근희 구미시가족센터장은 "앞으로도 다문화 가족을 위한 교육, 상담, 문화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1인가구 자유주제사업 ‘추억익는 여행’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2명을 대상으로 ‘추억익는 여행’을 진행한다. 행사는 10월 18일(토) 오전 9시부터 10월 19일(일) 낮 12시 30분까지 강원도 강릉·속초 일대에서 진행되며, 전통주 빚기, 속초 중앙시장 자유투어, 바다뷰 요가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참여 대상은 이천생활권 1인가구 중 프로그램 3회 이상 참여자이며, 신청은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문의는 전화(070-4866-0205)로 하면 된다. ■ 1인가구 금융교육 ‘증권 사용설명서’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5명을 대상으로 금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증권 사용설명서’를 운영한다. 교육은 9월 18일(목) 오후 7시부터 8시 30분까지 센터 3층 가온실에서 열리며, 증권상품 이해, 상장지수펀드 (ETF), 안정적인 배당소득 관리 등 실생활 중심의 금융 지식을 다룬다. 참석자 전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되며, 신청은 구글폼을 통한 사전 접수 후 확인문자를 받아야 한다. 문의는 1인가구 담당자(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