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hí làm việc của một số ngân hàng thương mại ở bưu điện là 0 won!

우체국에선 일부 시중은행 업무 수수료가 0원!

 

Gần đây, có rất nhiều người sử dụng ứng dụng di động khi xem các công việc tài chính như chuyển khoản và chuyển tiền. Không chỉ có thể xử lý hầu hết mọi việc mà còn "miễn phí" trừ trường hợp phí rất đặc biệt.

 

Có câu tục ngữ "không biết ướt áo trong mưa phùn". Phí nhập và rút tiền, thông thường nhiều từ vài trăm won đến nhiều hơn 1000 won, nhưng có thể không phải là số tiền lớn ngay bây giờ, nhưng cũng không có số tiền không biết ướt áo như phí. Nếu số tiền này được gom lại thì việc gánh nặng sẽ đến là điều đương nhiên.

 

Mặt khác, xung quanh chúng ta có nhiều tầng lớp yếu kém về tài chính khó sử dụng ứng dụng di động ngân hàng hoặc thậm chí không thể thử. Sự thật là chứng nhận bản thân và chứng nhận tài chính đã trở nên dễ dàng hơn và thủ tục đã giảm đi so với trước đây, nhưng tầng lớp trung niên yếu kém về tài chính không muốn sử dụng ứng dụng của riêng họ và trên hết, họ rất sợ rằng 'có phải tôi không làm tốt nên chuyển tiền sai không'. Vì vậy, họ chọn "아날로그" không phải là ứng dụng di động tiêu biểu mà vẫn đến trực tiếp tìm máy ATM.

 

Khách hàng của bốn ngân hàng thương mại lớn như Kookmin, Shinhan, Woori, Hana có thể sử dụng dịch vụ ATM, rút tiền và rút tiền tại hơn 2500 bưu điện trên toàn quốc mà không phải trả phí. Ngân hàng doanh nghiệp IBK, Ngân hàng Công nghiệp KDB, Ngân hàng City và Ngân hàng Jeonbuk là những ngân hàng đã từng được áp dụng. Đặc biệt, phí bưu điện miễn phí dự kiến sẽ giúp ích rất nhiều cho tầng lớp yếu kém về tài chính khi phải đến ngân hàng ở nơi xa.

 

Ví dụ, anh A, người sống ở các thành phố nhỏ ở địa phương và chủ yếu sử dụng ngân hàng Kookmin, sử dụng điện thoại nhưng sợ ứng dụng tài chính và thủ tục phức tạp nên không sử dụng. Tuy nhiên, gần nơi sinh sống không có cửa hàng của Ngân hàng Kookmin, thay vào đó là bưu điện có khả năng kinh doanh tài chính. Cách đây không lâu, ông A đã quyết định xử lý công việc bị trì hoãn khi nghe tin được miễn phí ở bưu điện.

 

Gửi 1 triệu won tiền mặt vào Ngân hàng Kookmin, gửi 100.000 won và 150.000 won cho hai người quen và 200.000 won tiền tiêu vặt cho bố mẹ. và rút 100.000 won vì sắp có một đám cưới. Nếu cộng thêm một khoản phí ước tính thì khoảng 3250 won. Đây là số tiền có ý nghĩa để mua một chiếc bánh ở tiệm bánh ăn.

 

Tuy nhiên, trong tương lai có thể trải nghiệm "ma thuật" với mức phí này là 0 won. Trong thời đại tăng lãi suất như hiện nay, việc tiết kiệm tối đa ở những phần có thể tiết kiệm được là thói quen sinh hoạt khôn ngoan. Chính sách lần này có thể trở thành "sự tiết kiệm nhỏ nhưng chắc chắn" đối với những người gặp khó khăn vì ngân hàng mà tôi đang sử dụng xa xôi.

 

Tôi đã trực tiếp kiểm tra xem phí có được miễn ở máy ATM bưu điện hay không. Lệ phí được in ra '0 won'. Dường như đã được áp dụng tốt vào mạng máy tính của thiết bị tự động hóa. Những biện pháp có ảnh hưởng tích cực trực tiếp đến cuộc sống hàng ngày của người dân sẽ tốt hơn nếu được mở rộng hơn nữa.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이수연 시민기자ㅣ요즘 이체나 송금 등 금융 업무를 볼 때,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직접 은행에 가지 않아도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수료가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료’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다. 입출금 수수료, 보통은 몇백 원에서 많으면 1000원 이내로 내게 되는데 당장은 큰 금액이 아닐 수 있지만 수수료만큼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돈도 없다. 이런 돈이 모이면 부담으로 다가오는 건 당연지사다.

 

한편, 은행 모바일 앱 사용을 어려워하거나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금융취약계층이 우리 주변에 많다. 예전에 비해 본인인증, 금융인증 등이 간편해지고 절차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금융취약계층인 중장년층, 어르신은 앱 자체의 이용을 꺼려하고 무엇보다도 ‘내가 조작을 잘 하지 못해서 돈이 잘못 송금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무척이나 두려워한다. 그래서 이들은 모바일 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이 아닌 여전히 창구 방문, ATM기를 직접 찾아가는 ‘아날로그’를 택한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고객들이 전국 2500여 개 우체국에서 별도 수수료 없이 입출금, 조회 및 AT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BK 기업은행, KDB 산업은행, 시티은행, 전북은행은 기존에도 적용되던 은행이다. 특히, 우체국 수수료 무료는 먼 곳의 은행을 방문해야 했던 금융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지방 소도시에 살고 국민은행을 주로 이용하는 A씨는 스마트폰을 쓰긴 하지만, 금융 앱은 무섭기도 하고 절차가 복잡해서 이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는 곳 근처에는 국민은행 점포가 없고, 대신 금융 업무가 가능한 우체국이 있다. A씨는 얼마 전 우체국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는 소식을 듣고 밀린 업무를 처리하기로 했다. 

 

현금 100만 원을 국민은행으로 입금하고 지인 2명에게 각각 10만 원, 15만 원씩 송금, 부모님께 용돈 20만 원을 보내기로 했다. 그리고 곧 결혼식이 있어 10만 원을 출금하기로 했다. 대략적인 수수료를 더해보면 3250원 정도가 나온다. 빵집에서 식빵 하나를 사먹을 수 있는 의미있는 돈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수수료가 0원이 되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요즘 같은 금리 인상기, ‘긴축’의 시대에서는 아낄 수 있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아끼는 게 현명한 생활습관이다. 아무쪼록 이번 정책은 내가 쓰는 은행이 멀어 난감했던 분들에게 ‘소확절(소소하지만 확실한 절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직접 우체국 ATM기에서 수수료가 면제되는지 확인해보았다. ‘0원’으로 출력되는 수수료. 자동화기기 전산망에 잘 적용된 듯했다. 국민 일상생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런 조치들이 좀 더 확대되면 좋을 것 같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 램을 준비했다. ■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은 10월 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열리며, 꼬지전·산적·호박새우전 등을 함께 만든다. 신청은 9월 2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QR코드 또는 센터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가능하다. 준비물은 앞치마이며, 문의는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컴퓨터 주말반 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인 ‘컴퓨터 주말반’도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총 6회 이며,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센터 3층 디지털교육장에서 열린다. 엑셀 집중과정으로 진행되며,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외국인주민 등이 참여 할 수 있다. 접수는 10월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 15명을 모집하며, 홈페이지 또는 QR코드를 통해 신청 가능 하다. 문의는 사업3팀(☎ 031-631 2267)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경희대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공동 운영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어학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지원과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해 공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원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 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학생 10명이 멘토로 참여한다. 아동들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학습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나누게 된다. 특히,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도와 함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단순한 공부 지원을 넘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멘토링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업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 개최

보령시가족센터는 지난 26일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년째 이어져 온 이번 행사는 내·외국인 500여 명이 참여한 보령 지역 최대 규모의 다문화 축제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체험과 공연을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공감대를 한층 더 확산시켰다. 행사는 명천실버복지관의 사물놀이 공연과 명천어린이집의 율동 무대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식에서는 지역 내 다문화가족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 단체와 개인, 다문화가족 지원 유공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보령시여성인력개발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 유공자들의 숨은 노고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을 조명하고,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시민 참여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18개의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3개국 세계놀이 체험’에서는 ▲한국의 투호와 제기 ▲베트남의 따가오 ▲일본의 다루마오토시와 긴교스쿠이 등 전통놀이를 통해 각국의 문화적 특색을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