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9.0℃
  • 구름조금강릉 10.7℃
  • 구름많음서울 12.6℃
  • 구름조금대전 11.1℃
  • 구름많음대구 13.3℃
  • 구름조금울산 13.6℃
  • 흐림광주 14.8℃
  • 구름많음부산 15.5℃
  • 흐림고창 10.2℃
  • 구름조금제주 17.2℃
  • 구름조금강화 9.5℃
  • 구름조금보은 8.3℃
  • 구름많음금산 8.0℃
  • 구름많음강진군 11.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一番明るい満月が昇る日、小正月の由来と伝統遊び

가장 밝은 보름달이 뜨는 날,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전통놀이

 

小正月は韓国の伝統名節の一つで旧暦1月15日に該当し、この日は一年の中で最も明るい満月が昇る日だ。 満月の光を受けながら新年を迎え、望むことを願う意味が込められている。

 

  小正月は古代社会の天文学的知識と農業文化に根幹を置いている。 冬季を過ぎて新年の始まりを知らせ、健康と豊作を祈り、悪い気運を追い出そうとする趣旨で、小正月の由来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

 

  人々が集まってお互いの安否を尋ね、食べ物を分けて食べながら一年の福を祈る疎通の場としても機能した。 また、綱引き、タルジプ(月の巣を燃やすこと)燃やし、凧揚げ、ジュブルノリ、五穀米を食べること、福袋作りなど多様な民俗遊びと食べ物文化とともにした。

 

  綱引きは最も一般的な伝統遊びの一つだ。 藁で作った縄を長く垂らして2編に分けて自分の方に引き寄せると、勝つ遊びとして村の幸運と豊かさを祈る風習が込められている。

 

  月家燃やしは、月が昇るまで松の枝など火で燃やすものを集めて、火を燃やしながら遊ぶ風習だ。 花が咲くと、楽しく遊びながら周りを回って遊んだりもした。 満月は豊かさの象徴であり、火は浄化の象徴であるため、豊かで病気と心配のない新年を迎えるということを表現したものでもある。

 

  凧揚げは、凧を空に上げて遊ぶ遊びで、主に高い丘と小山で多飛ばす。 普通、凧揚げは小正月の数日前に盛況だ。 凧に「厄」を刻んで「厄蓮を浮かべる」と表現し、一年の全ての厄を空に飛ばしてしまう意味を持つこともある。

 

  ジブルノリは、ネズミが農作物の害を及ぼすと考えた昔の人たちがネズミの形をした藁人形を作って燃やす遊びで、ネズミを退けて農作物を保護するための意味がある。

 

  小正月に食べる食べ物は、一年の豊かさと健康を祈る意味で食べる食べ物だ。 五穀米は米、麦、粟、豆、機張など5種類の穀物で炊いたご飯で、5種類の穀物のおかげで一年が豊かで健康であることを祈る意味がある。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유미코 시민기자ㅣ

 정월대보름은 한국의 전통 명절 중 하나로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며, 이날은 한 해 중 가장 밝은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보름달의 빛을 받으며 새해를 맞이하고, 원하는 것들을 소망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정월대보름은 고대 사회의 천문학적 지식과 농업 문화에 근간을 두고 있다. 겨울철을 지나 새해 시작을 알리고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며 나쁜 기운을 쫓아내려는 취지에서 정월대보름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안부를 묻고, 음식을 나눠 먹으며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소통의 장으로도 기능했다. 또 줄다리기, 달집태우기, 연날리기, 쥐불놀이, 오곡밥먹기, 복주머니 만들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와 음식 문화와 함께했다.

 

줄다리기는 가장 흔하게 하는 전통놀이 중의 하나이다. 짚으로 만든 동아줄을 길게 늘어뜨려 두 편으로 나누어 자기 쪽으로 끌어당기면 이기는 놀이로 마을의 행운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 담겨있다.

 

달집태우기는 달이 떠오를 때까지 생솔가지 등 불로 태울 것을 모아 불을 태우며 노는 풍속이다. 꽃이 피어오르면 신나게 놀면서 주위를 돌고 놀기도 했다. 보름달은 풍요의 상징이고 불은 정화의 상징이기 때문에 풍요롭고 질병과 근심이 없는 새해를 맞이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연날리기는 연을 하늘로 띄워 노는 놀이로 주로 높은 언덕과 동산에서 많이 날린다. 보통 연날리기는 정월대보름 며칠 전 성황을 이룬다. 연에 '액'을 새겨서 '액연을 띄운다'라고 표현하며, 한 해의 모든 액을 하늘로 날려버리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쥐불놀이는 쥐가 농작물의 해를 끼친다고 여겼던 옛날 사람들이 쥐의 형상을 한 짚 인형을 만들어 태우는 놀이로, 쥐를 물리치고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의미가 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은 한 해의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먹는 음식이다. 오곡밥은 쌀, 보리, 조, 콩, 기장 등 5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으로, 다섯 가지의 곡식의 덕을 받아 한 해가 풍요롭고 건강하길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화성시가족센터 온가족보듬사업 중년남성의 자기회복력강화 프로그램 “Hello~!! 나의 중년(2)”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오는 11월 15일(토)과 11월 28일(금) 양일에 걸쳐,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성시 내 거주 중년남성 8명을 대상으로 ‘중년남성의 자기회복력강화 프로그램2’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집단상담은 아무에게도 터놓지 못하는 중년 남성들의 외로움과 힘듦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나누는 장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가족과의 관계를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총 2회에 걸쳐 진행된다. △11월 15일에는 나를 찾아가는 시간 △11월 28일에는 목공체험(도마만들기)으로 진행예정에 있으며, 현재 참여자 모집 중에 있다고 밝혔다. 박미경 화성시가족센터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화성시에 거주하는 중년남성들의 의사소통 개선 및 갈등을 완화하고 가족과 직장에서의 관계를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위기 가족을 위한 통합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성시가족센터는 ‘온가족보듬사업’의 일환으로 이번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가족 형태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 기능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사례관리,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

성남시가족센터, 아빠와 함께하는 토요일 ‘원목테이블 만들기’ 진행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10월 18일(토)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센터 교육실3에서 7세부터 13세 자녀와 아버지 30명을 대상으로 ‘아빠와 함께하는 토요일: 원목테이블 만들기’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온라인 접수를 통해 참여자를 모집했으며, 가족 간 협력과 소통을 돕는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참가자들은 미리 다듬어진 원목과 드라이버, 못 등을 활용해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힘을 합쳐 원목테이블을 완성했다. 활동 중 아버지는 자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 하며 함께 문제를 해결했고, 아이들은 직접 손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꼈다. 참여자들은 “가족과 함께 소통하는 시간이 소중했다.”, “과정이 간단하고 알맞은 난이 도라 아이와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다.”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성남시가족센터는 앞으로도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며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관련 문의는 가족지원팀(☎031-755-9327, 내선 1번)으 로 하면 된다.

이천시가족센터, 11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생애주기별 맞춤 경제교육 이천시가족센터는 재무 솔루션이 필요한 결혼이민자와 이천시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 경제교육을 진행 한다. 교육은 11월 15일(토)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이천시가족센터 313호(가온실, 중리동 행정복지센터 3층)에서 열린다. 이번 강의에서는 생애주기별 재무 점검과 현금 흐름 관리 등 실생활에 필요한 경제 교육이 이뤄질 예정이다. 신청은 11월 3일(월) 오후 1시부터 선착순 20명까지 가능하며, QR코드또는 구글 링크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문의는 이천시가족센터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2026년 결혼이민자 취업교육을 위한 욕구조사 실시 이천시가족센터는 2026년 결혼이민자 취업교육 운영을 위해 욕구조사를 진행한다. 이번 조사는 2025년 취업교육에 참여한 이용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내년도 참여자들이 원하는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실시된다. 참여 기간은 10월 22일부터 11월 5일까지 15일간이며, 취업교육에 관심 있는 결혼이민자는 게시글 내 QR코드 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