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결혼이민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3개 기관에서 ‘한국어 교실’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어 교실’은 3월부터 12월까지 부천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노동복지회관, 대산종합사회복지관에서 운영되며, 각 기관의 특성에 맞춰 기초반, 쉽고 재미있는 한국어, 검정고시 준비반을 개설해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기초반은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기초입문 ▲기초심화 ▲기초종합반 등으로 세분화해 운영한다. 또한, 수시로 한국어 받아쓰기 시험을 실시해 학습자의 실력을 빠르게 파악하고 맞춤형 학습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정확한 발음과 문법을 익힐 수 있도록 집중 지도할 계획이다. 황인순 여성다문화과장은 “결혼이민자들이 입국 초기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언어”라며 “다문화가족이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교육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 신청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032-327-1370), 노동복지회관(☎032-679-2922), 대산종합사회복지관(☎032-665-6061)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해당 기관에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시흥시가족센터(센터장 고경임)는 2월 10일부터 13일까지 총 4일간 소속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예방 특별교육 및 상반기 집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교육에는 시흥시가족센터 소속 아이돌보미 208명이 참석하였으며, 최근 타 지자체에서 발생한 아이돌보미 아동학대 사건을 공유하며 아동학대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동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성장함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교육은 시흥시 아동보호전문기관과의 연계로 진행되었으며, △아동 인권의 이해 △아동 학대의 유형 및 후유증 △아동학대 대응체계 △아동 안전계획 수립 등을 주제로 강의가 이뤄졌다. 특히,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 사례를 공유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통해 아이돌보미들이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유사 사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식을 강화했다. 이어 진행된 상반기 집담회에서는 2025년 아이돌봄지원사업 지침 변경 사항 및 복수기관 안내 등이 이뤄졌다. 시흥시는 아이돌봄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대기가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복수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지원하는 아이돌봄지원사업은 맞벌이·취업·한부모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을 대상으로 3개
緊急事態発生時に、妊婦などオーダーメード型応急処置を助ける「119安心コールサービス」累積加入者が昨年121万人を越えた。 消防庁によると、119安心コールサービスの累積加入者数は、昨年12月基準で121万8534人と集計された。 119安心コールサービスは、緊急事態の時に地域と関係なく事前に登録した個人情報を基に、救急隊員がオーダーメード型応急処置と迅速な病院移送を支援するサービスだ。 簡単な加入手続きさえ経れば誰でも無料で利用でき、重症疾患者や障害者、独りで高齢者および子供、妊婦などすべての国民と国内居住外国人の誰でも加入できる。 細部加入タイプ別では重症疾患者(疾病者)が最も多く、妊婦の場合、2022年以降急激に増え始めた。 また、2023年首都圏集中豪雨を契機に、浸水特別管理対象地域住民も119安心コール加入対象者として含め、気象特報など万一の状況に備えている。 119安心コールサービスの申し込みは、携帯電話またはパソコンを利用してホームページ(https://u119.nfa.go.kr )にアクセスし、会員登録後、本人認証の手続きを経て、人的事項や病歴、服用薬物、保護者情報などを入力すれば済む。 消防庁はより良いサービス提供のために昨年「119安心コールシステム」を再構築し新しく運営している。 改善した主要内容は、自動入力防止機能の適用およびウェブ脆弱性を補完して保安性
경기도가 26개 시군과 함께 ‘2025년도 맘튼튼 축산물꾸러미 지원사업' 온라인 신청을 3월 4일 10시부터 시작한다. 지원 대상은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출산 후 도내 사업 참여 26개 시군*에 출생신고를 완료한 산모로 10만원 상당의 축산물꾸러미를 가정에서 편안하게 받을 수 있도록 택배로 배송해 준다. *26개 시군: 용인시, 화성시, 남양주시, 안산시, 평택시, 안양시, 시흥시, 김포시, 광주시, 하남시, 광명시, 군포시, 양주시, 오산시, 이천시, 안성시, 구리시, 의왕시,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과천시, 가평군, 연천군, 파주시 이 사업은 2025년도 4만명의 산모에게 국내산 축산물꾸러미를 지원해 경기침체로 위축된 국내 축산업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가족 화합을 통한 출산 장려를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지난해 5만원에서 10만원으로 지원 금액이 두 배 늘었다. 10만원 상당의 국내산 축산물을 시군별로 더 많은 품목(부위)과 용량으로 구성해 선택의 다양성을 높였다. 신종광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맘튼튼 축산물꾸러미 지원사업이 가족 간 화합과 출산 장려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침체된 국내 축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남보건대학교(총장 김종완) 식품영양학과는 지난 27일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함께 제11회 K-COOK 요리교실 ‘가족과 요리키트로 배우는 요리조리 UP’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K-COOK 요리교실은 매년 다양한 주제로 요리를 선정하여 수원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구성원에게 다양한 한식요리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요리교실은 ‘흑백요리사 한국의 맛, 장트리오’ 요리교실과 요리키트를 제공하여 요리 실습을 진행 할 수 있는 ‘가족과 요리키트로 배우는 요리 조리 UP’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2월 27일 진행된 요리키트 배부는 총 300가정의 다문화가족에게 지원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족들이 함께 요리하며 소통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항상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하다”, “덕분에 좋은 음식을 맛볼 수 있어서 좋았다.”, “가족들과 함께 음식을 만들 수 있어서 기뻤다”등의 긍정적인 소감을 전했다.
파주시 금촌2동은 3월 4일부터 시작되는 ‘파주시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 외국인 신청을 앞두고 홍보 활동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금은 결혼이민자(에프(F)-2-1, 에프(F)-6)와 영주권자(에프(F)-5)를 대상으로 하며, 2024년 12월 26일 기준으로 금촌2동에 체류 등록된 외국인에게 1인당 10만 원의 지역화폐인 ‘파주페이’가 지급된다. 지급된 파주페이는 2025년 6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신청은 오프라인으로만 받으며, 3월 4일부터 14일까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금촌2동 행정복지센터 1층 소회의실에서 받고 있다. 금촌2동은 2월 25일 기준으로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 신청률이 20개 읍면동 중 가장 높은 96.76%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금촌2동 행정복지센터는 외국인 주민들이 빠르고 원활하게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를 마쳤다. 외국인 거주가 많은 주요 아파트 단지와 금릉택지에 안내 방송과 홍보물을 배포하며, 유동인구가 많은 중앙보행로와 금릉역 중앙광장에는 현수막을 게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들이 불편 없이 신청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홍보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경기도 물향기수목원은 일상속에서 지친 시민들에게 자연 속에서의 진정한 힐링을 제공하기 위해 숲해설 및 비대면 에코티어링 등 투어형 2개 프로그램과 참여형 10개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 물향기수목원은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 도시민들이 자연을 찾아 멀리 떠나지 않고도 가까운 도심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원과 숲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물향기수목원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은 도심속 숲에서 마음의 안정을 찾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자들은 숲해설사와 함께 자연과 교감하며 심신의 안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고, 비대면 에코티어링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이 직접 활동지를 가지고 숲속에서 미션을 수행하면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또한, 물향기수목원은 전문 산림교육 인력을 확보해 체계적인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도심 속에서 자연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웰빙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수목원이 단순히 식물 관람을 넘어 도심속 마음의 쉼터로서의 역할을 확대할 예정이다. 석용환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장은 “현대인들이 도심내에 위치한 숲에서 진정한 휴식을 취
수원시(시장 이재준)는 불법 주차된 공유 전동킥보드·자전거를 시민이 신고하면 현장 조치하는 ‘공유 전동킥보드·자전거 민원신고시스템’을 3월 4일부터 운영한다. 신고 대상은 차도, 횡단보도 진출입로, 점자블록 위, 소화전 5m이내, 교통섬 등 주차위반 지역에 주차한 공유 전동킥보드·자전거다. ‘수원시 공유PM(개인형이동장치)·자전거 불법주차 위반신고 홈페이지(https://www.suwon.go.kr:22911)’ 또는 ‘새빛톡톡 홈페이지·앱’에서 신고하면 주차위반 여부를 검토한 후 대여업체에 현장 조치를 요청하는 방식이다. 공유 전동킥보드는 3시간 내 현장 조치가 안 되면 견인하고, 1대당 3만 원의 견인료를 부과한다. 민원신고 시스템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한다. 수원시 관계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전동킥보드를 질서 있게 주차하는 문화가 조성되도록 유도하겠다”며 “공유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천시는 지난 26일 ㈜대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학습지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2014년생부터 2021년생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학습지 교사가 주 1회 가정을 방문해 한글과 국어 등 기초 학습 중심으로 1:1 맞춤형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지 지원 비용은 부천시가 3만 5천 원을, ㈜대교가 7천 원을 부담하며, 나머지 비용은 학부모가 자부담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다문화가정은 3월 4일부터 3월 21일까지 해당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부천시청 여성다문화과 다문화지원팀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황인순 여성다문화과장은 “방문학습지 지원이 언어·문화·경제적 이유로 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문화가정 아동이 안정적인 교육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양주소방서(서장 권선욱)는 25일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 요령을 홍보한다고 밝혔다. 소방서에 따르면 숙박시설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간으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화재를 인지한 즉시 다른 투숙객에게 알리고 대피를 준비해야 하며, 복도에 연기나 열이 없으면 객실 문을 닫고 계단으로 대피한다. 승강기는 사용하지 않으며, 연기가 심할 경우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낮은 자세로 이동한다. 복도에 연기나 열이 감지되면 객실 문을 닫고 119에 신고한 후, 위급 시 완강기를 사용해 지상으로 피난한다. 생존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샤워기 등을 활용해 신체를 보호할 수도 있다. 권선욱 소방서장은 “숙박시설 화재는 순식간에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투숙객들이 대피 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화재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성군가족센터가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습 격차 해소와 성장을 위한 교육활동비 지원에 나선다.군가족센터는 오는 31일까지 지역 내 다문화 가족 자녀 대상 교육활동비 지급에 대한 접수를 진행한다. 이번 교육활동비는 교육 급여를 받지 않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7~18세 한국 국적 자녀가 받을 수 있다. 초등(7~12세) 40만원, 중등(13~15세) 50만원, 고등(16~18세) 60만원 규모의 지원금을 연 1회 카드 포인트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교재 구입과 학원비 등 교육적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오는 11월 말까지 전액 소진해야 한다. 신청을 희망할 경우에는 고성군가족센터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담당자(070-4107-3381)에 문의하면 알 수 있다.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5월 28일부터 7월 2일까지 매주 수요일마다 노년 1인가구 24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신나게 움직이며 나누는 인생 이야기’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집단상담에서는 ▲일상 공유를 통한 마음 나누기 ▲신체활동을 통한 마음 환기(뇌활성화 운동, 플로어컬링 등)이 이루어졌다. 회기가 진행될 수록 강사와 참여자 간 라포가 형성 되었고 그 결과 높은 참여도와 결속력이 나타났다. 노년 집단상담 참여자는 “일주일 동안 이 시간만을 기다릴 만큼 집단 상담이 삶에 큰 활력이 되었다. 서로 위하며 일상을 나누고 시간을 보내니 너무 행복해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화성시가족센터 박미경 센터장은 “어르신들이 프로그램을 하며 더 젊고 건강해지신 것 같고, 프로그램 내내 웃으며 행복해하시는 모습을 보니 저도 덩달아 웃음이 나온다. 노년 1인가구의 삶에 기쁨을 주는 센터가 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화성시가족센터는 8월 13일부터 9월 17일까지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미술치료 집단상담 ‘나를 알아 가는 여행’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심리적, 정서적, 환경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운영할 계획이다. 관련
화성시가족센터 긴급위기지원은 단순한 일시적 돌봄에 그치지 않고, 위기가정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가족 내 보호자 공백이나 단기적인 간병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듬매니저가 가정을 직접 방문해 생활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위기상황으로 심리적 불안을 겪는 부모와 자녀에게는 주 1회 심리상담이 지원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위기가정의 정서적 회복과 생계 안정뿐 아니라, 위기 종료 후에도 교육·문화 프로그램 및 자조모임 등으로 연계하여 지속적인 회복을 돕고 있다. 지원 대상은 최근 1년 이내 위기 사건을 겪었거나, 위기상황이 진행 중인 사례관리 가정, 또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청소년 가장, 단독가구 등이다. 센터 관계자는 “위기 상황에 놓인 가족이 적절한 시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발굴과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며, 지역 내 위기 가정과의 연결망 강화를 위해 지역주민과 기관들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온가족보듬사업 프로그램 관련 궁금한 사항은 화성시가족센터 상담사례팀 전화(070-7774 7084)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