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Bakit ang Araw ng mga Guro ay ika-15 ng Mayo

스승의 날이 5월 15일인 이유

                                      

098608540.jpg

 

Ang Araw ng Guro ay isang araw na nilikha upang pasalamatan ang mga guro sa kanilang pagsusumikap. Sa maraming bansa, ang World Teachers' Day (Oktubre 5), na itinatag ng UNESCO noong 1994, ay ipinagdiriwang bilang araw ng mga guro (World Teachers' Day).

  

Gayunpaman, sa Korea, noong ika-15 ng Mayo (Abril 10, 1397 sa kalendaryong lunar), ang kaarawan ni Haring Sejong the Great, isang guro ng bansang nag-iwan ng maraming tagumpay para sa mga tao, ay itinatag at ginunita bilang Araw ng Guro.

  

Ang unang paggunita sa Araw ng mga Guro sa Korea ay nagsimula noong 1958 nang ang mga estudyante ng Youth Red Cross (RCY) ng Ganggyeong High School sa Nonsan, Chungcheongnam-do, ay bumisita sa mga guro na nakahiga sa mga kama sa ospital.

  

Pagkatapos nito, binisita niya ang mga retiradong guro, inaliw sila, at binigyan ng mga panyo, atbp.

  

Sa pamamagitan nito bilang pagkakataon, itinalaga ng Chungcheongnam-do ang Setyembre 21, 1963 bilang 'Araw ng regalo' sa Chungnam Province, at ginawa itong isang pasasalamat na kaganapan.

  

Sa ika-13 Sentro ng konseho ng mag-aaral noong Mayo 1964, ang 'Araw ng regalo' ay pinalitan ng pangalan na 'Araw ng mga Guro' at ang petsa ay binago ng Mayo 26, na makikita bilang ang unang 'Araw ng mga Guro'.

  

Noong Abril 1965, ang Araw ng mga Guro, na ginanap ng ilang araw sa buong bansa, Sa kasalukuyan, ang Araw ng mga Guro ay ginanagap tuwing ay ika-15 ng Mayo.

  

Noong 1965, Mayo 15, ang kaarawan ni Haring Sejong the Great, ay pinalitan ng Araw ng mga Guro. Ito ay dahil naisip niya na siya ang pinakadakilang guro ng mga Koryano, na nag-imbento ng Hangeul at nagmamalasakit sa mga tao. Masasabing naglalaman ito ng kagustuhang igalang ang mga guro tulad ni Haring Sejong the Great.

   

Noong 1966, ang 'Awit sa Araw ng mga Guro' (mga liriko na isinulat ni Yoon Seok-jung, na binubuo ni Kim Dae-hyun) ay ipinamahagi ng media at ang kaganapan ay kumalat sa buong bansa. Gayunpaman, noong Marso 1973, ang mga kaganapan sa paggunita na may kaugnayan sa edukasyon ay isinama at inalis sa National Education Charter Proclamation Day (Disyembre 5), ngunit muling binuhay noong Mayo 15, 1982, at ngayon ay umaabot na sa kasalukuyan.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데스 시민기자ㅣ스승의 날은 교사의 노고에 감사하는 취지로 만들어진 날로, 여러 나라에서 1994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세계 스승의 날(10월 5일)을 세계 교사의 날(World Teachers' Day)로 기념하고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백성을 위한 수많은 업적을 남긴 민족의 스승, 세종대왕  탄신일인 양력 5월 15일(음력 1397년 4월 10일)을 스승의 날로 제정해 기념하고 있다.

  

한국에서 처음 스승의날이라고 기념한 것은 1958년 충청남도 논산에 있는 강경고등학교의 청소년 적십자단(RCY) 학생들이 병석에 누워계시던 선생님들을 방문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그 뒤 퇴직한 선생님들을 찾아가 위문하고 손수건 등을 선물했다.

  

이를 계기로 충청남도에서는 1963년 9월 21일을 충남 도내 '은사의 날'로 정해 사은 행사로 했고, 그 해 10월 청소년 적십자중앙협의회에서 전국행사로 확대했다. 

  

1964년 5월 제 13차 중앙학생협의회에서 '은사의 날'을 '스승의 날'로 고쳐 불렀고 날짜도 5월 26일로 변경했는데 이것이 바로 제1회 '스승의 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전국적으로 여러 날에 실시되었던 스승의 날을 1965년 4월에 지금의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지정했다.

  

이후 1965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변경했다. 한글을 창제해 백성을 두루 살핀 우리민족의 가장 큰 스승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스승이 세종대왕처럼 존경받는 시대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66년 '스승의날 노래'(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가 보도매체에 의해 보급되고부터 이 행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1973년 3월 교육 관련 기념행사가 국민교육헌장선포일(12월 5일)로 통합되어 폐지됐다가 1982년 5월 15일 부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충주시가족센터, 결혼이주여성 역사박물관 탐방

충주시가족센터는 29일 결혼이주여성들과 함께 서울에 있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방문해 역사 탐방을 진행했다 이번 탐방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진행하는 ‘2025 문화나눔 체험교육-광화문에서 만나요’ 행사에 충주시가족센터 다문화교류 소통공간 ‘다가온’이 선정돼 추진됐다. 행사에는 베트남, 중국, 방글라데시 결혼이주여성 13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국적취득을 준비 중인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국적취득시험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과목 중 하나인 대한민국 역사를 재미있고 쉽게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참가자들은 △한국 근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강의 △광화문 답사 및 미션 수행 △역사전시관과 덕수궁 관람을 진행하며, 영상과 체험으로 대한민국 역사를 생생하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베트남 출신 참가자인 누엔녹마이씨는 “국적취득 공부 중 한국 역사가 가장 어렵고 힘들었는데, 이곳에 와서 직접 듣고 보면서 역사 흐름이 파악돼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심재석 센터장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의 역사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힐링하는 시간도 가진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충주시가족센터는 결혼이주여성

영암군가족센터, 5월 다양한 가족 체험 프로그램 운영

영암군가족센터(센터장 조은정)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가족 간 소통·화합 증진, 세대별 맞춤형 가족 지원 등을 위한 이번 프로그램은 체험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2일에는 가족이 집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과자집 만들기 비대면 키트’를 제공한다. 8일 어버이날에는 가족센터 교육장에서 부모와 함께하는 ‘카네이션 케이크 만들기’가 진행된다. 13일 성년의 날에는 청년이 참여하는 ‘무알콜 칵테일 & 핑거푸드 만들기’ 체험이, 21일 부부의 날에는 ‘부부 꽃바구니 만들기’가 열린다. 가족의 특별한 추억을 만드는 이번 프로그램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영암군가족센터 홈페이지에서 4/25일부터 선착순 접수한다.

평택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 추진 ‘Home Sweet Home’

평택시가족센터(센터장 김성영)에서는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 W아너 소사이어티의 후원을 통해 2025년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 ‘Home Sweet Home’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국 방문 지원사업은 평택시에 2년 이상 거주하면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최근 5년 이상 모국을 방문하지 못한 관내 저소득 다문화가족 30명을 대상으로 왕복 항공료와 체류비용 일부를 지원할 예정이다. 4월 14일(월)부터 30일(수)까지 참여자를 모집하고, 5월 중 서류와 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가족은 6월부터 10월까지 모국 방문을 진행하게 된다. 지원을 희망하는 다문화가족은 구비서류를 준비해 평택시가족센터로 방문하면 되고,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 관련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가족센터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