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Makababawas ba sa mga bayarin sa komunikasyon ang pagbasura sa ‘Dantong Act’?

 

Noong ika-22, nagpasya ang gobyerno na ganap na alisin ang Device Distribution Act, na naglilimita sa mga subsidyo para sa mga mobile phone device, upang hikayatin ang mga tao na bawasan ang kanilang mga gastos sa komunikasyon.

 

Ang Dantong Act ay ang 'Mobile Device Distribution Improvement Act' at pinagtibay noong 2014 upang gawing malinaw ang pamamahagi at mga limitasyon ng subsidyo upang ang lahat ay makatanggap ng mga subsidyo, na kadalasang binabayaran lamang sa ilang mga gumagamit, nang walang diskriminasyon.

 

Ang layunin nito ay upang hikayatin ang kumpetisyon sa halaga sa pamamagitan ng pagpayag sa mga mobile carrier na higit na tumuon sa mga serbisyo ng mamimili sa halip na makipagkumpitensya para sa mga subsidyo. Bago ang Dantong Act, nagkaroon ng problema na ang halaga ng pagbili ng mobile phone ay iba dahil sa agwat ng impormasyon sa pagitan ng mga mamimili na alam kung aling mga tindahan ng mobile phone ang nag-aalok ng malaking subsidyo at hindi.

 

Ayon sa Dantong Act, ang mga pondo ng suporta ay dapat ipahayag at panatilihin sa isang tiyak na tagal ng panahon. Bilang karagdagan, ang subsidyo ay hindi maaaring ituon lamang sa isang partikular na rate plan, at ang subsidyo ay dapat bayaran sa lahat ng rate plan sa iisang halaga.

 

Gayunpaman, itinaas ang kritisismo na kahit na matapos ang Dantong Act, ang kumpetisyon sa mga mobile carrier para sa mga subsidyo ay bumaba, na naglilimita sa mga pagkakataon para sa mga mamimili na bumili ng mga mobile phone sa mababang presyo. Bilang karagdagan, sa merkado ng smartphone, ang mga mamahaling premium na modelo ay pangunahing inilabas at ang mga presyo ay mabigat, kaya maraming nagsasabi na ang pasanin ng mga gastos sa pagbili ng mobile phone ay dapat na babaan.

 

Alinsunod dito, plano ng gobyerno na buwagin ang Dantong Act sa unang pagkakataon sa loob ng 10 taon, bawasan ang mga gastos sa pagbebenta sa pamamagitan ng kompetisyon ng mga subsidyo, at ipagpatuloy ang piling sistema ng diskwento sa kontrata na nagbibigay ng benepisyo ng pinababang gastos sa komunikasyon kahit sa mga mamimili na hindi tumatanggap ng mga subsidyo.

 

Sa pag-aalis ng Dantong Act, walang mga paghihigpit sa mga subsidyo, kaya ang mga mobile phone ay maaaring mabili nang medyo mura, ngunit ang ilan ay nag-aalala na hindi ito hahantong sa pagbawas sa mga gastos sa komunikasyon. Sa halip na may subsidyo ang lahat ng mga rate plan, ang opinyon ay ang kabuuang gastos sa komunikasyon ay hindi mababawasan dahil sa pag-subsidyo sa ilang mamahaling rate plan, paglipat ng mga carrier, o pag-subscribe sa mga karagdagang serbisyo.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데스 시민기자ㅣ22일 정부는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을 제한하는 단말기유통법을 전면 폐지해 국민들의 통신비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단통법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로 단말기 유통과 보조금은 투명하게하여 일부 사용자에게만 많이 지급되는 보조금을 모두가 차별 없이 받을 수 있도록 2014년에 제정되었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가 보조금 경쟁을 하지 않고 소비자 서비스에 더 집중하여 요금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었다. 단통법 전에는 보조금을 많이 지급해주는 휴대전화 판매점을 알고 있는 소비자와 알지 못하는 소비자 간의 정보 격차로 인하여 휴대전화 구입 비용이 제각각 달랐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통법으로 현재는 지원금을 공시 한 후 이를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한다. 또 특정 요금제에만 지원금을 집중할 수 없으며 일ㅈ어 비율로 모든 요금제에 지원금을 지급해야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단통법 후에도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보조금 경쟁이 위축되어 소비자들이 휴대전화를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또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가의 프리미엄 모델이 중점적으로 출시되고 가격이 부담되어 휴대전화 구입비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이에 정부는 10년 만에 단통법을 폐지하며, 보조금 경쟁으로 판매 비용을 줄이고, 보조금을 받지 않는 소비자에게도 통신비 절감 혜택을 주는 선택약정 할인제도도 지속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의 제한이 없어 상대적으로 휴대전화를 싸게 구입할 수 있겠으나, 일부에선 통신비 인하까지 연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모든 요금제에 보조금을 지원하기보다는 일부 고가의 요금제에 지원하거나 통신사 이동, 부가서비스 가입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통신비는 인하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경희대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공동 운영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어학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지원과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해 공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원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 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학생 10명이 멘토로 참여한다. 아동들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학습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나누게 된다. 특히,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도와 함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단순한 공부 지원을 넘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멘토링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업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 개최

보령시가족센터는 지난 26일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년째 이어져 온 이번 행사는 내·외국인 500여 명이 참여한 보령 지역 최대 규모의 다문화 축제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체험과 공연을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공감대를 한층 더 확산시켰다. 행사는 명천실버복지관의 사물놀이 공연과 명천어린이집의 율동 무대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식에서는 지역 내 다문화가족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 단체와 개인, 다문화가족 지원 유공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보령시여성인력개발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 유공자들의 숨은 노고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을 조명하고,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시민 참여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18개의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3개국 세계놀이 체험’에서는 ▲한국의 투호와 제기 ▲베트남의 따가오 ▲일본의 다루마오토시와 긴교스쿠이 등 전통놀이를 통해 각국의 문화적 특색을 직

성남시가족센터, 9월 대규모 가족사랑의 날 ‘패밀리데이 – 우리가족 과학마술DAY’ 진행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9월 24일 바른아트센터에서 9월 가족사랑의 날 ‘패밀리 데이 – 우리가족 과학마술DAY’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성남시 거주 5세(2020년생) 이상 자녀를 둔 43가족, 총 126명이 참여했으며, 온라인 사전 접수를 통해 대면 공연으로 진행됐다. 센터는 가족들에게 수준 높은 공연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 공연장을 대관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관람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무대, 음향, 조명 등 공연에 최적화된 시설을 갖춰 참여 가족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특히 10년간의 노하우를 가진 마술공연 전문극단 ‘미리내마술극단’을 초청해 동심과 상상을 자극하는 특별한 과학마술콘서트를 선보였다. 공연은 눈의 원리를 활용한 인체의 신비, 착시마술, 풍선과 바람의 신비 실험, 공기 대포, 로봇 강아지 마술, 중력 마술, 레이저쇼 등 다채로운 무대로 구성 됐다. 또한 공연 중 가족들이 함께 시연할 수 있도록 마술 키트가 제공되어 단순한 관람을 넘어 참여형 콘텐츠로 교육적 흥미를 높였으며, 가족 구성원 전체가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행사와 함께 성남시가족센터 홍보를 위해 ‘인스타그램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