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 영)는 8월 5일 오전 10시부터 온라인 접수를 열고, 8월 23일 토요일 12시 30분부터 성남시 거주 혹은 성남시 소재 직장에 재직 중인 성인 남성 16명을 대상으로 ‘남성 힐링 프로그램’ 푸드 힐링 클래스 교육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마제멘과 쇼가야끼 만들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요리 과정을 통해 일상 스트레스로 지친 남성들에게 음식과 자기 돌봄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참가는 8월 5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성남시가족센터 홈 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성남시가족센터 가족지원팀 전화(031 755-9327, 내선 1번)으로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Сильн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 магнитудой 8.8, произошедшее на Камчатке, — это не просто крупное событие за границей. На фоне серии мощных толчков в Японии, Тайване и Китае, становится очевидно, что и Корей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больше не может считаться «зоной, свободной от землетрясений». Во всем мире наблюдается тенденция к учащению и усилению землетрясений. Так, 1 января 2024 года в японской префектуре Исикава произошло землетрясение магнитудой 7.6, унесшее жизни более 200 человек. Спустя всего несколько недель, 23 января, на западе Китая в Синьцзяне была зафиксирована сейсмическая активность магнитудой 7
성남시가족센터는 2025년 7월 23일 (수)부터 25일(금)까지 3회기에 걸쳐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너의 꿈을 응원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다문화가족 자녀 12명을 대상으로 성남시가족센터 교육실3, 수정커뮤니티센터 왁자지껄, 문화교실 108호 등에서 대면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을 통해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자기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구성됐다. 참여자들은 3일간 ▲스피치 지도자 ▲ 안무가 ▲샌드아티스트 등 총 세가지 직업군을 체험했다. 먼저 ‘스피치 지도자’ 시간에는 아나운서 출신 강사와 함께 발음 연습 유인물을 활용하여 말의 어감과 끊는 위치 등을 실습했으며, 1:1 피드백을 통해 발음과 말투를 보완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 회기인 ‘안무가’ 체험에서는 안무가를 ‘몸으로 이야기를 표현하는 사람’으로 소개하며, 의사소통 방법을 신체로 표현해보는 활동을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안무를 따라 배우고, 상상력을 바탕으로 안무를 창작하는 경험을 통해 창의성과 자신감을 키웠다. 마지막 ‘샌드아티스트’ 활동에서는 모래를 활용한 예술을 통해 직업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이해하고, 그림
近期,全球范围内强震频发,所谓“安全地带”已不复存在。每日生活中的预防与应对,才是面对灾难的第一步。韩国行政安全部建议,善用如“安全踏脚石”等灾害信息应用程序,可清楚掌握避难所位置和逃生路线。 俄罗斯远东的堪察加半岛于近日发生了8.8级强烈地震,并伴有海啸警报。这一事件不仅是俄罗斯的“他国新闻”,在地理位置接近的日本、台湾和中国也陆续发生强震的背景下,韩国半岛也不再是完全没有地震风险的地区。 全球范围来看,地震呈现出更频繁、更强烈的趋势。2024年1月1日,日本石川县发生7.6级地震,造成200余人死亡;紧接着1月23日,中国新疆也发生7.1级地震,因严寒天气导致救援困难。今年4月,台湾花莲发生7.4级地震,引发大楼倒塌及海啸预警。而此次堪察加地震为目前为止规模最强的一次,显示整个东北亚正面临严重的地震威胁。 根据韩国气象厅数据,韩半岛每年平均发生50多次地震。自2016年庆州5.8级地震及2017年浦项5.4级地震之后,公众对内陆地震的担忧也大幅上升。尤其是近年来海底地震增多,地震造成的影响不仅仅是地面震动,更可能带来海啸等次生灾害。 专家指出,这类地震频率上升可能与全球变暖、气候变化所引起的地壳平衡变化相关。韩国国家灾难安全研究院也警告,在气候危机时代,一场灾难往往会引发连锁反应,演变成“复合型灾害”。 在这样的时代背景下,最重要的不是“是否会发生”,而是“发生时如何应对”。体
수원시(시장 이재준)는 8월 한 달간 도시공원에서 광복 80주년 기념행사, 무궁화 축제, 문화공연,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여름 행사를 개최한다. 도심 공원을 일상 속 여행지이자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원별로 특색을 살린 행사를 기획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5일 인계예술공원 제1야외음악당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같은 장소에서 15~16일 ‘제35회 전국 무궁화 수원축제’를 연다. ▲올림픽공원 ‘새빛 어린이 워터파크’(7월 26일~8월 17일) ▲당수체육공원 ‘입북·당수동 여름 물놀이 축제’(8월 9~10일) ▲인계예술공원 ‘수원시립합창단 잔디밭 음악회’(8월 29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체험 프로그램은 수원수목원(일월·영흥)의 ‘여름방학 특별 프로그램’(8월 7~8일, 13~14일), 광교산 등 8곳에서 ‘해설이 있는 숲속 여행’, 유아숲체험원 6개소에서 유아·가족 대상 활동을 준비했다. 4개 구청은 물놀이장과 수경시설을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개방한다. 수원 무궁화원(고색동)은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시민에게 공개한다. 효원공원 등 18개소에서는 대중음악·마술·무용 등 공연을 여는 ‘새빛동행길’을 연중 운영한다. 9월에
경찰청은 “최근 5년간 졸음운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8월에 졸음운전 사망자가 제일 많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졸음운전 교통사고는 9,559건, 사망자는 252명이다, 이 중 8월에 발생한 사망자는 36명(14.3%)으로 월별 최다 수준으로 관측되었다. 졸음운전은 일반 사고보다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인 치사율이 높은 특징이 있는데, 8월은 4.13명으로 월별 치사율도 가장 높다. 졸음운전은 운전자의 인지능력과 반응시간이 저하되어 잠깐의 방심이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운전자는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 예방 수칙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먼저, 운전자는 출발 전 충분한 수면이 필수적이며, 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도로 형태가 단조로운 구간은 졸음운전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운전자가 졸음을 인지하면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우고 중간휴식이 필요하다. 또한, 동승자 없이 단독 운전하는 경우에 졸음이 더 쉽게 찾아올 수 있다. 이런 경우, 노래를 듣거나 주기적인 환기, 적절한 카페인 음료 섭취는 졸음운전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은 “8월은 고온다습하고 휴가철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가 운영하는 화성형 아이키움터 동탄산척점은 지난 7월 26일, 8~9세 자녀를 둔 7가족을 대상으로 친환경 과학실험 만들기 프로그램 ‘오호랑 솔솔 선풍기랑’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주말을 활용한 가족 참여형 활동으로 어린이들의 과학적 탐구력과 환경 감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실험 주제는 일상생활 속 환경 이슈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참여 가족들은 실험 활동을 통해 자연과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원리와 그 필요성을 쉽게 재미있게 이해하며, 의미 있는 체험의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보호자는 “탄소중립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환경에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으며, 온 가족이 함께 생애 처음으로 ‘오호물병’을 만들어보며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고 소감을 밝혔다. 박미경 화성시가족센터장은 “아이들과 함께하는 작은 실천이 환경을 지키는 큰 발걸음이 될 수 있다” 며, “앞으로도 지역 내 가족이 함께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양질의 체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형해, 가족 간 소통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돌봄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수원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북한이탈주민의 날 2주년(7월 14일)을 기념해 7월 31일 팔달구 작은새어린이공원에 손바닥정원을 조성했다. 민주평통통일자문회의 수원시협의회가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이재준 수원시장과 북한이탈주민, 민주평통 수원시협의회 자문위원 등이 참석해 작은 정원을 조성했다. 민주평통 수원시협의회 이석하 협의회장은 “작은 정원이지만 북한이탈주민들에게는 큰 위로와 희망이 될 것”이라며 “지역사회가 북한이탈주민들에게 따뜻한 관심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오늘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만든 손바닥정원은 ‘화합과 공존의 정원’이 될 것”이라며 “낯선 환경 속에서도 하루하루 새로운 삶을 꽃피우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기존 시내버스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2020년 도입한 ‘경기 프리미엄버스’를 올해 9월부터 ‘경기 편하G버스’로 이름과 디자인을 바꾸고 운영한다. ‘경기 프리미엄버스’는 출퇴근 시간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 경기도가 버스를 임차해 도입한 정기이용권 형태의 교통수단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iri+)을 통한 좌석예약제, 우등형 버스가 주는 넓은 좌석과 편리함, 주요 거점만 정차하는 급행화를 통한 출퇴근 시간 단축 등의 특징이 있다. 기존 버스의 단점들을 보완해 회원제로 예약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의 지속적인 도시 성장과 신도시·택지개발지구 등의 개발로 인해 출퇴근 시간대 광역교통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는 도내 8개 시에 19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도는 기존 서비스에 대한 이미지 개선과 도민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도민 공모를 거쳐 ‘편하게 타는 경기(G)버스’라는 의미의 ‘경기 편하G버스’로 명칭을 바꿨다. 차량 디자인도 기존 황금색에서 벗어나 도시적이고 세련된 느낌의 보라색으로 변경했다. 기존에는 보다 넓은 좌석을 위해 28~31인승 우등형 버스를 운영했는데, 지역별 수요와 여건에 따라 41
이천시(시장 김경희)는 환경을 보호하고 도시 미관 개선을 위해 대형폐기물 배출 신고 방법을 알렸다. 대형폐기물은 세 가지 방법 중 편리한 수단을 선택하여 신고 및 배출을 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이천시청 누리집을 통해 간편하게 온라인 신고를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 신고하는 것이다. 또한 세 번째로는 핸드폰 애플리케이션 ‘빼기’를 활용해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배출 신고를 하는 것으로 바쁜 직장인이나 외출이 어려운 시민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대형폐기물을 신고하지 않고 무단으로 투기하면 불법투기로 인한 과태료가 부과되며 방치된 폐기물로 인해 도시 미관이 훼손되고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대형폐기물을 절차에 따라 올바르게 배출하면 자원의 재활용이 활성화되고 거리의 청결함이 유지되어 이천시민 모두가 쾌적한 일상을 누릴 수 있다. 이천시 관계자는 불법투기로 인해 산과 들의 미관이 훼손되는 것을 막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리기 위해 이천시민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폐기물을 올바르게 신고하여 배출할 것을 강조했다.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7월 29일(화), 결혼이민자 직업훈련 프로그램 ‘화.성 결혼이민자 내일(JOB)학교’ 문화다양성이해교육 강사 사전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수료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이번 사전교육과정은 총 20회, 60시간에 걸쳐 이론과 실습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결혼이민자들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갖추도록 돕기 위한 취업 준비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교육 내용은 ▲취업준비교육 ▲직장문화 이해교육 ▲컴퓨터 교육(ITQ 파워포인트) 등으로 구성되어, 교육생들이 실질적인 직업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정을 포함했다. 또한 지난 7월 24일(화)에는 문화다양성 강사를 체험할 수 있는 유관기관을 견학하여 문화다양성이해교육의 실무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교육에는 총 12명의 결혼이민자가 참여해 전 과정을 성실히 이수했으며, 수료증과 기념품이 전달됐다. 중국 출신 교육생 이OO씨는 “여러 가지 수업을 통해 강사가 되기 위한 사전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노력해 내년에는 실제 강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고 소감을 전했다. 화성시가족센터 박미경 센터장은 “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 는 ‘온가족 보듬사업’의 일환으로 조부모와 손자녀의 세대간 긍정적 상호작용과 가족기능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조손가족지원사업 교육ㆍ문화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8월 30일과 9월 6일, 양일간 조손가족 10가정을 대상으로 조부모 건강 식습관ㆍ스트레칭 교육과 손자녀 그림책 만들기, 함께하는 베이킹 교실 및 포도 농장 체험, 피자 만들기 등 다채로운 활동으로 진행한다. 화성시가족센터는 조손가족지원 사업을 통해 조부모의 양육부담을 해소하고, 세대 간 친밀감 향상과 가정 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을 지원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온가족보듬사업은 다양한 가족 형태와 위기 상황에 처한 가족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로 가족상담, 사례관리,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족기능과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화성시가족센터는 다양한 가족에 대해 보편적이고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화성 시민의 건강가족 파트너로 다양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힘 써오고 있다. 온가족보듬사업 관련 문의사항은 화성시가족센터 상담사례팀 전화(070-7774-7085)
화성시다(多)문화어린이합창단은 지난 합창단 활동을 마무리하며, 단원들과 함께 따뜻하고 즐거운 방학식 및 여름파티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방학식은 그동안 정기연습과 다양한 공연에 성실히 참여해준 단원들이 서로에게 격려하며 더욱 돈독해지는 시간을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합창단 활동 중 좋았던 점’과 ‘기억에 남는 노래’ 등의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고, 지휘자님과 반주자님, 단원들끼리 칭찬 릴레이를 이어가며 웃음이 끊이지 않았다. 서로의 장점을 발견하고 따뜻한 말을 나누는 시간이 아이들 간의 유대감을 더욱 깊게 만들었다. 맛있는 음식도 함께 나누며,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와 다짐도 함께 나누는 시간이었다. 여름방학은 7월 31일, 8월 7일, 8월 14일 총 3주간이며, 합창단은 8월 21일부터 다시 활동을 재개할 예정이다. 방학 후에도 정기연습은 물론, 다양한 공연과 체험 활동을 통해 다문화와 비다문화 아이들이 어우러지는 소중한 시간을 이어갈 계획이다. 화성시다(多)문화어린이합창단은 노래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차이를 존중하며 하나가 되어간다. 앞으로도 아이들이 즐겁고 의미있게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따뜻한 하모니는 계속될 예정이다. 관련 문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