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한국의 전통춤 아홉번째 이야기, '한량무'

여성춤이 주를 이루는 전통춤 공연에서 ‘한량무’는 대표적인 남성춤이다(간혹 갓을 쓰고 남장을 한 여성 무용수도 있다).

 

‘한량’이란 고려시대 말~ 조선 초기, 무과에 낙방한 양반을 일컫던 말로 관직을 얻을 생각 없이 놀고 먹었지만, 풍류를 알고 의기 있고 씩씩한 사나이의 별칭이었다.

 

한량무는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데, 우리가 무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홀춤 한량무와 한량, 승려, 기생, 별감 등이 등장하여 남녀 삼각관계를 묘사한 극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가 있다.

 

 

1.jpg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는 한량과 승려가 한 여인을 유혹하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한 무언무용극으로 조선 중기 이후 남사당패(南寺黨牌) 중 무동들에 의해 놀았던 것인데 그 후 조선 말까지 계속해서 연행되었으나 남사당패가 분산되면서 1910년 이후 이 춤은 어른의 무용으로 기방에서 주로 추어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교방가요의 승무(僧舞)의 내용과 구성이 한량무와 같으므로 승무의 유래설에 의한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소재로 삼은 춤이라는 설, 탈춤의 소무(小巫)와 노장(老長)의 대무(對舞), 포도대장(捕盜大將)과 소무의 애정장면과도 관련되었다는 탈춤과 연관설도 있다.

 

 

[홀춤 한량무]

 

이러한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를 바탕으로 시대적·환경적 조건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춤이 홀춤인 한량무다. 이 춤은 1970년대 공연예술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고,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쳐 다양한 형태의 홀춤인 한량무가 등장하였다. 

 

이는 남성 춤꾼들이 자신의 스타일로 변모된 다양한 색깔의 한량무를 무대화하였기 때문이다. 한량무는 대부분 선비의 고고한 정신을 몸짓으로 풀어내고 있다. 춤의 장단은 굿거리-자진모리-굿거리로 구성되었으며, 복식은 흰 바지저고리·흰 도포를 입고 검은 갓을 쓰고 부채를 든다.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5호 한량무(조흥동)와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진주한량무(정행금)가 있고,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김진홍),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44호 한량춤(김무철)은 홀춤의 한량무이다.

 

 

[원류 한량무 vs 조흥동류 한량무]

 

한량무로 유명한 춤꾼 월륜 조흥동 선생님은 2021년 3월 ‘조흥동의 춤의세계’ 공연무대에서 두 가지 형식의 한량무를 모두 무대에 올리셨다.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를 ‘원류 한량무’ 라는 작품명으로, 조흥동 선생님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홀춤) 조흥동 한량무도 같은 공연무대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2.jpg

 

조흥동류 한량무 

 

천하를 품을 듯 한 기상으로 디딤새나 춤사위가 기품과 기개가 넘치는 호방한 남성무로써 보폭이 넓고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동작이 크다. 한량의 마음을 그려내는 것, 세상을 다 품을 것 같았던 포부와 욕심을 버리고, 자연을 벗 삼아 풍류를 즐기며 사는 한량의 모습은 초월자를 닮아있다. 

 

백색 도포, 검은 갓, 술띠, 갓신 차림의 선비가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앉아 있다. 느린 진양조에서 중모리로 가락이 바뀌면, 고고한 학의 자태로 음악을 끌고 다니듯 엇박자 동작이 이어진다. 정갈하며 세련미 넘치는 옛 선비의 고고한 품격으로 빚은 이 춤은 남성춤의 매력을 한껏 보여주며 선비의 회한이 짙게 투영되는 조흥동의 대표작이다. 조흥동은 이번 공연에서 명백하게 정의될 한량춤의 뚜렷한 춤사위와 정형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이코노믹 장석용 객원기자-

 

 

3.jpg

 

김호동류 한량무 

 

선비의 의연한 기품과 내적 자유로움을 암시하는 정중동의 절제된 춤사위와 정중동의 미학을 바탕으로 멋과 흥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으로 우리나라 남성춤의 백미이다. 김호동류 한량무는 이매방 선생의 사풍정감을 바탕으로 경상도 덧뵈기춤과 김호동 특유의 호흡과 남성춤으로 잡고, 풀고, 맺고, 어르는 춤사위로 새롭게 구성되고 완성된 작품이다.

 

 

4.jpg

 

 

참고문헌

 

-성경린/한국의 무용-교양국사총서 24/세종대왕 기념사업회/p212/1976

-조흥동의 춤세계 -한량무를 중심으로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안영화 2003

-한량무 형성 및 춤사위에 관한 연구 - 강선영류를 중심으로 - 용인대학교 대학원 김정임 2002 

-국립국악원 공식블로그 몸짓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량무

-[네이버 지식백과] 한량무

-[한국민속예술사전] 한량무 

 

 

5.jpg

 

[필자소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오랜시간 디자이너와 디렉터로 활동했다.

한국 전통춤은 늦은 나이에 접했지만, 많은 명무 선생님들의 춤을 보고 또 직접 배우면서

한국인의 한/멋/흥을 담고 있는 매력적인 한국 전통춤을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에 칼럼을 

쓰고 있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1인 가구 여가지원 사업 ‘솔로앤조이(Solo&Joy)’ 본격 운영

양평군가족센터는 지난 21일부터 양평군 내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돕는 ‘1인 가구 여가지원 사업 솔로앤조이(Solo&Joy)’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여가를 통해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프로그램은 △중장년 1인 가구 대상 ‘힐링타임, 취향 한 스푼’ △노년 1인 가구 대상 ‘행복한 노년, 취미가 있는 하루’ △통합 1인 가구 대상 ‘나를 위한 자유, 함께하는 여가’ 등으로 구성됐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여가활동을 경험하며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정서적 안정감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우영 센터장은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대에 혼자 사는 분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서로 연결되고 지지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족센터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이 참여자분들께 삶의 활력과 정서적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구미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과 문경서 한국문화탐방 진행

구미시 가족센터는 25일 다문화가족 70여 명이 문경을 찾아 한국문화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문화탐방'은 가족이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적 장소를 방문함으로 가족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전날 문경 에코월드를 방문해 고구려와 신라 건축물, 석탄박물관 관람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결혼이민자는 자국의 역사와 비교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가면서 가족 안에서도 상호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 참여자는 "가까운 지역에 아이와 함께 다양한 경험할 장소를 알게 되어 좋았고, 평소 보지 못했던 아이들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라고 했고, 다른 참여자는 "한국문화를 여러 방법으로 가족과 함께 알아갈 수 있어 즐거웠고, 한국과 친해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라고 말했다. 도근희 구미시가족센터장은 "앞으로도 다문화 가족을 위한 교육, 상담, 문화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1인가구 자유주제사업 ‘추억익는 여행’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2명을 대상으로 ‘추억익는 여행’을 진행한다. 행사는 10월 18일(토) 오전 9시부터 10월 19일(일) 낮 12시 30분까지 강원도 강릉·속초 일대에서 진행되며, 전통주 빚기, 속초 중앙시장 자유투어, 바다뷰 요가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참여 대상은 이천생활권 1인가구 중 프로그램 3회 이상 참여자이며, 신청은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문의는 전화(070-4866-0205)로 하면 된다. ■ 1인가구 금융교육 ‘증권 사용설명서’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5명을 대상으로 금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증권 사용설명서’를 운영한다. 교육은 9월 18일(목) 오후 7시부터 8시 30분까지 센터 3층 가온실에서 열리며, 증권상품 이해, 상장지수펀드 (ETF), 안정적인 배당소득 관리 등 실생활 중심의 금융 지식을 다룬다. 참석자 전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되며, 신청은 구글폼을 통한 사전 접수 후 확인문자를 받아야 한다. 문의는 1인가구 담당자(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