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Mosquito-Borne Illnesses Surge After Monsoon — Proper Use of Repellents Crucial.

장마 끝나자 모기 기승…기피제 사용법 숙지 중요

 

As the rainy season and heatwave subside, mosquito activity has entered its peak, prompting public health authorities to issue warnings about mosquito-borne diseases.

 

From late August to early October, the risk of illnesses such as malaria and Japanese encephalitis—transmitted by mosquitoe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increases significantly. With more people engaging in outdoor activities during this time, following personal prevention guidelines becomes especially important.

 

Health authorities emphasize the correct use of mosquito repellents that are officially approved as “quasi-drugs”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prevent mosquito bites. Usage recommendations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s ingredients and the user's age.

 

For example, DEET (diethyltoluamide), one of the most common active ingredients, can be used by infants aged six months or older if the concentration is 10% or less. Products with DEET concentrations exceeding 10% are only recommended for those aged 12 and older. Other major ingredients such as Icaridin and IR3535 (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should not be used on infants under six months of age, while products containing para-menthane-3,8-diol are recommended only for children aged four and above.

 

When using repellents, it is important to choose only products labeled as quasi-drugs and to apply them lightly to exposed skin or on top of clothing. They should never be used on wounds, irritated skin, mucous membranes, around the eyes or mouth, or on sunburned areas.

 

For children, a guardian should apply the product by first dispensing it onto their own hands. Repeated or excessive use should be avoided. The repellent typically remains effective for four to five hours; if reapplication is needed, it should be done sparingly rather than in excessive amounts.

 

After use, the treated skin should be washed thoroughly with soap and water, and any clothing or socks sprayed with repellent should also be washed. For spray-type products, it is safer not to spray directly on the face but to apply it by hand instead. If sunscreen is also being used, it should be applied first, followed by the repellen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health agencies are actively promoting these safety guidelines to the public, and in some areas, multilingual informational materials are being distributed to assist multicultural households. In particular, since the mosquitoes that transmit Japanese encephalitis are most active at night, it is recommended to minimize outdoor activity in the dark and to wear bright, loose-fitting clothing while also using mosquito nets and window screens for additional protection.

 

 

 

 

(한국어 번역)

장마와 폭염이 지나고 본격적인 모기 활동 시기가 시작되면서, 모기를 매개로 한 감염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국내외 주요 모기 매개 감염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로, 야외 활동이 잦아지는 만큼 개인별 감염 예방 수칙이 중요한 시점이다.

 

보건당국은 모기 회피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모기기피제의 올바른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기피제는 제품에 따라 사용 연령이 다르며, 성분별로 주의사항이 명확하게 나뉜다. 대표 성분인 디에틸톨루아미드(DEET)는 농도 10% 이하 제품의 경우 생후 6개월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제품은 12세 이상부터 사용 가능하다.

 

또 다른 주요 성분인 이카리딘(Icaridin)과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IR3535)는 생후 6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사용을 피해야 하며, 파라멘탄-3,8-디올 성분은 만 4세 이상부터 사용이 권장된다.

 

제품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 정식 허가 제품을 구매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 위에 얇게 분사하거나 발라야 한다.

 

하지만 상처 부위, 자극받은 피부, 점막, 눈·입 주위, 햇볕에 탄 부위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며,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가 손에 덜어 도포해주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반복적이고 과도한 사용은 피해야 하며, 효과는 대개 4~5시간 정도 지속되므로 필요 시 다시 사용하되, 과량을 뿌리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기피제 사용 후에는 반드시 비누와 물로 피부를 씻고, 뿌렸던 의류나 양말도 세탁해야 한다. 분사형 제품은 얼굴 부위에 직접 뿌리지 말고 손에 덜어 바르는 방식이 안전하며, 자외선차단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난 뒤 기피제를 덧바르는 것이 권장된다.

 

지자체와 보건기관은 이와 같은 예방 수칙을 중심으로 시민 대상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국어 안내 자료도 배포되고 있다.

 

특히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야간 시간대에 주로 활동하는 점을 고려해 어두운 야외 활동은 최소화하고, 밝고 헐렁한 옷차림, 모기장, 방충망 사용 등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부부 명랑 운동회’ 개최

양평군은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물맑은양평체육관에서 관내 20부터 60대까지 부부 120명을 대상으로 ‘부부 명랑운동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비부부를 비롯해 중·장년 및 노년 부부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며, 신체활동을 통해 부부간의 친밀감을 높이고, 이웃 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자녀 양육에 매진해 온 부부들에게는 모처럼 부부만의 시간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웃과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건강한 지역 관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부부 명랑운동회’는 입장식과 준비체조를 시작으로 △타이타닉 게임 △부부 림보 △농구 △배드민턴 △퍼팅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으로 구성된다. 참가자들은 4개 팀으로 나뉘어 토너먼트 및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에 참여하며, 풍성한 경품과 조기 예약자 이벤트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로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박우영 센터장은 “가정 내 다중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부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부부 정체성을 회복하고, 친밀감과 사랑을 다시금 채워나가는 행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하며, “특히 다수 인원이 참여하는 행사인 만큼 안전 관리와 비상 대응 체계도 철

태안군가족센터, 다문화가정 대상 캠핑 프로그램 성료

태안군가족센터가 관내 다문화가정의 소통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캠핑 프로그램을 마련해 호응을 얻었다. 군에 따르면, 센터는 관내 다문화가정 기초학습 대상자 10가족을 대상으로 지난 5~6일 이틀간 원북면의 한 캠핑장에서 ‘1박2일 별똥별 탐험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가족 간 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유대감을 높이고 자녀들의 학습 스트레스를 해소를 돕기 위한 것으로, 참여자들은 가족 요리대회와 식사, 레크리에이션, 가족 협동 프로그램(샌드위치 만들기, 가족사진 액자 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함께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센터 관계자는 “다문화가족들이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번 캠핑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다문화가정의 순조로운 적응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2025년 평택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 취업 지원 사업

평택시가족센터는 지난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라온요양원, 늘푸른요양원, 환타지아노인복지센터와 결혼이민자의 요양보호사 실습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평택시가족센터의 ‘모두잡(JOB)고!’ 요양보호사 자격증반 실습 교육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교육 수료 후 결혼이민자들의 현장 실습과 취업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성영 센터장은 “이번 협약이 결혼이민자들의 전문 역량 강화와 안정적인 취업 기반 마련에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라온요양원 지미경 원장은 “결혼이민자들이 현장에서 실습하며 전문성을 쌓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늘푸른요양원 박예현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결혼이민자들이 배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환타지아노인복지센터 김태원 센터장은 “결혼이민자들이 요양 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업무협약(MOU)을 맺은 기관들은 결혼이민자의 직무능력 향상과 안정적 취업 지원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