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Multicultural students who have increased 240% over the past 10 year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ll try to close the gap in education.

10년 간 240% 증가한 다문화학생… 학력격차 해소 나선다

-6039-5496.jpg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nounce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Committee held on the 4th that a plan to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 in school age and an implementation plan for 2022 were deliberated and approv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total numb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decreased by 21% whil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d by 240%. Howeve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a low level of desired education by 18% difference in the enroll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ross the nation.


The government has come up with support plans to narrow the educational gap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has soared over the past decade, and to provide career guidance.


As a support plan for the educational gap and career guidance, 78 family centers will introduce counseling services on a trial basis from 2022.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pilot project, the ministry plans to expand and promote it to family centers nationwide by 2025.


In additi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conducts a "bilingual family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of the family center for effective bilingual communication method education and talent database operation. 


The project produces and distributes school life information materials for multicultural parents, and operates parent education and "Multicultural Parent School". 


For efficient participation in school classes, curriculum supplementation programs are also provided, and 17 auxiliary textbooks containing major concepts and vocabulary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as video content.


It will also launch a "learning all" project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learning all" project will be conducted at 90 family centers starting this year to improve children's basic academic skills, and will support basic learning such as reading, writing, and counting before and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lasses in schools will be expanded for immigra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chools without Korean classes will produce content and learning materials to support remote learning and operat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Rainbow School is operated for immigrated children outside the school. Rainbow School provides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ic information on Korean society, and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programs to immigrant youth and supports social adaptation and settlement such as transfer admission for formal education.


Supports will also be provided for the stability of psychology and emotions of multicultural youth and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78 family centers will begin one-on-one customized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youth counselors. 

In addition, fou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ill be expanded to operate stepping stones courses, which are preparation education before admission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aid it will expand the legal scope for cases where foreign fathers or mothers stay abroad, and children live in Korea with Korean fathers or mothers and are not recognized as multicultural families by law.


Chung Young-a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aid "Until now, most of the government's policies on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focused on easing the burden of raising preschoolers or providing public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and added, "We have come up with measures through consultations with policy consumers, experts and related ministries to help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 into future talents in our society without suffering from parental migration characteristics or social prejudice in the future."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정영한 기자ㅣ여성가족부는 4일 열린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에서 학령기 다문화 자녀 포용적 지원방안, 2022년 시행계획안이 심의 및 의결됐다고 밝혔다.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 10면 간 초·중·고 전체 학생은 줄어드는데 전체 학생 수는 21% 감소한 반면, 다문화학생의 수는 240% 증가했다. 그러나 다문화가족 청소년은 희망학력 수준이 국민 전체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차이가 18% 차이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 간 급증한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학력격차 해소 및 진로 지도 등을 위해 정부가 지원 방안을 내놨다.


학력격차 및 진로지도를 위한 지원책으로 2022년부터 78개 가족센터에서 상담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도입한다.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2025년까지 전국 가족센터로 확대추진을 할 계획이다. 


또 여가부는 효과적인 이중언어 소통방법 교육 및 인재 데이터베이스 운영을 위해 가족센터의 ‘이중언어 가족환경조성 사업’을 한다. 사업은 다문화 학부모 대상으로 학교 생활 안내자료를 제작 및 보급, 부모교육과 ‘다문화 부모학교’를 운영한다.


효율적 학교 수업 참여를 위해 교과 보충 프로그램도 제공하며, 주요개념 및 어휘 등을 담은 보조교재 17종을 영상콘텐츠로 제작 및 배포한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을 위한 ‘다배움’사업도 함께 시작한다. 다배움 사업은 자녀의 기초 학력 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90개 가족센터 실시하며, 초등학교 입학 전후 읽기, 쓰기, 셈하기 등 기초학습 지원을 지원한다.


중도입국 아동·청소년을 위해 학교 내 한국어학급 설치를 확대하며, 한국어학급이 없는 학교의 경우 원격 학습 지원을 위해 콘텐츠 및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과정도 운영한다.


학교 밖에 있는 중도입국 자녀 위해서 레인보우스쿨을 운영한다. 레인보우스쿨은 이주배경청소년에게 한국어 교육, 한국사회 기본 정보, 사회적 관계향상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정규교육 편입학 등 사회적응 및 정착 지원한다.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정서 안정 및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지원도 마련된다. 78개 가족센터에서 청소년 상담사를 통한 1대 1 맞춤 심리상담을 시작한다. 또 초·중학교 편·입학 전 사전준기 교육인 징검다리과정을 초·중학교 각각 4개교씩 확대 운영한다.


여가부는 외국인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해외 체류하고, 자녀는 한국인 아버지 또는 어머니와 한국에 거주해 법률상 다문화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에 대해서도 법적 포괄 범위를 넓힌다고 밝혔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이제까지 정부의 다문화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은 대부분 미취학 자녀의 양육부담 완화 혹은 중도입국 자녀의 공교육 진입에 초점을 맞춰왔다”며 “앞으로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부모의 이주배경 특성이나 사회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 우리사회의 미래 인재로 자라나도록 지원하기 위해 정책 수요자, 전문가 및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대책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충주시가족센터, 결혼이주여성 역사박물관 탐방

충주시가족센터는 29일 결혼이주여성들과 함께 서울에 있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방문해 역사 탐방을 진행했다 이번 탐방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진행하는 ‘2025 문화나눔 체험교육-광화문에서 만나요’ 행사에 충주시가족센터 다문화교류 소통공간 ‘다가온’이 선정돼 추진됐다. 행사에는 베트남, 중국, 방글라데시 결혼이주여성 13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국적취득을 준비 중인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국적취득시험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과목 중 하나인 대한민국 역사를 재미있고 쉽게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참가자들은 △한국 근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강의 △광화문 답사 및 미션 수행 △역사전시관과 덕수궁 관람을 진행하며, 영상과 체험으로 대한민국 역사를 생생하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베트남 출신 참가자인 누엔녹마이씨는 “국적취득 공부 중 한국 역사가 가장 어렵고 힘들었는데, 이곳에 와서 직접 듣고 보면서 역사 흐름이 파악돼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심재석 센터장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의 역사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힐링하는 시간도 가진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충주시가족센터는 결혼이주여성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1회 ‘GOD:지금 우리 다가치 운동회’ 성황리 마무리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는 4월 26일 토요일 경기도인재개발원 체육관에서 진행된 제1회 ‘GOD:지금 우리 다가치 운동회’를 성황리에 마무리 하였다고 밝혔다. ‘GOD:지금 우리 다가치 운동회’는 다문화가족과 외국인주민 모두가 참여 할 수 있는 체육활동 기회가 부재한 점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의 장을 만들고자 기획되었으며, 김영후 전 수원시약사회 회장, 수원시약사회, 중앙대약대 수원 동문회,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 KT스포츠, 더맛푸드, 타이소울 등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성공적인 운동회 개최를 위해 후원금을 기탁한 성치순 중앙대약대 수원동문회장은 “다문화가족과 외국인주민의 화합을 위해 언제나 헌신하는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운동회가 개최된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가족들의 화합과 행복한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50가정(150명)이 모인 이번 운동회는 어색한 분위기를 풀 수 있는 레크리에이션과 키즈 댄스팀 이샘크루의 오프닝 공연으로 시작되었다. 이후‘지금팀’과 ‘오늘팀’으로 나누어 구름 달리기, 큰공 굴리기, 청이야 홍이야, 줄다리기, 계주 등 다양한 경기를 펼쳤다. 이어달리기에는 유경선 센터장을 비

영암군가족센터, 5월 다양한 가족 체험 프로그램 운영

영암군가족센터(센터장 조은정)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가족 간 소통·화합 증진, 세대별 맞춤형 가족 지원 등을 위한 이번 프로그램은 체험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2일에는 가족이 집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과자집 만들기 비대면 키트’를 제공한다. 8일 어버이날에는 가족센터 교육장에서 부모와 함께하는 ‘카네이션 케이크 만들기’가 진행된다. 13일 성년의 날에는 청년이 참여하는 ‘무알콜 칵테일 & 핑거푸드 만들기’ 체험이, 21일 부부의 날에는 ‘부부 꽃바구니 만들기’가 열린다. 가족의 특별한 추억을 만드는 이번 프로그램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영암군가족센터 홈페이지에서 4/25일부터 선착순 접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