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June 6th, Memorial Day of Korea

6월 6일 현충일

4830850840.jpg

 

Memorial Day, June 6th every year, is a day to commemorate the fallen patriots and the patriotic spirit and great achievement of the fallen soldiers who died fighting for the country. In addition to soldiers killed in the Korean War, the noble sacrifices of independence fighters such as Yoon Bong-gil, and Yoo Gwan-soon, who fought for independence to regain their country in Japanese colonial era, are also commemorated on the day.


The name of Memorial Day of Korea, Hyeonchungil, originated from "Hyeonchungsa Temple", which was built in 1707 to commemorate Admiral Yi Sun-shin's loyalty. At 10 a.m. on Memorial Day, people commemorate the noble sacrifice of the patriotic martyrs and the fallen patriots and observe one minute’s silence to the sound of sirens ringing across the country.


Another way to commemorate Memorial Day is to fly the national flag in front of the house with condolences. In general, it is a rule to raise the national flag so that it touches the end of the flagpole. However, on Memorial Day or the day paying repects, the flag is lowered to a vertical length of the flag face and raised. This hoisting is to raise a flag at half-mast, and if a complete half-mast flag is impossible, it should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but not as much it touches the floor.


Memorial Day, designated as a statutory anniversary in 1982, is a day that should be remembered to commemorate the patriotic martyrs who sacrificed for the country. Hope that June 6th, Memorial Day, will be a day to make a fresh resolution with honoring the souls of the patriots who sacrificed for democratization, prosperity, independence, and prot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강성혁 기자ㅣ매년 6월 6일 현충일에는 나라를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호국영령 및 전몰장병의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기념일이다.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국군 장병은 물론 윤봉길 의사, 유관순 열사와 같이 일제강점기 조국을 되찾기 위해 독립운동을 펼치다 순국하신 독립투사에 대한 숭고한 희생도 기리고 있다.


최초의 현충일 명칭의 유래는 1707년 이순신 장군의 충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현충사'에서 유래 되었다. 현충일 오전 10시에는 전국에서 울리는 사이렌 소리에 맞춰 1분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며 묵념을 한다.


현충일을 기리는 또 다른 방법은 바로 조의를 표하는 마음을 담아 집 앞에 태극기 조기 게양을 실천하는 일이다. 국기 게양은 일반적으로 태극기를 깃봉 끝에 닿도록 게양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현충일이나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국기 깃면 세로 길이만큼 내려서 게양합니다. 이렇게 게양하는 것을 조기라고 하는데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 바닥 등에 닿지 않도록 최대한 내려서 달아야 한다.


지난 1982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현충일은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을 기리는 날로 기억되어야 하는 날이다. 6월 6일 현충일, 대한민국의 독립과 수호를 위해 민주화와 번영을 위해 희생하신 호국영령들의 넋을 기리며, 새로운 각오를 다져보는 날이 되길 바란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부부 명랑 운동회’ 개최

양평군은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물맑은양평체육관에서 관내 20부터 60대까지 부부 120명을 대상으로 ‘부부 명랑운동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비부부를 비롯해 중·장년 및 노년 부부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며, 신체활동을 통해 부부간의 친밀감을 높이고, 이웃 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자녀 양육에 매진해 온 부부들에게는 모처럼 부부만의 시간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웃과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건강한 지역 관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부부 명랑운동회’는 입장식과 준비체조를 시작으로 △타이타닉 게임 △부부 림보 △농구 △배드민턴 △퍼팅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으로 구성된다. 참가자들은 4개 팀으로 나뉘어 토너먼트 및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에 참여하며, 풍성한 경품과 조기 예약자 이벤트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로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박우영 센터장은 “가정 내 다중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부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부부 정체성을 회복하고, 친밀감과 사랑을 다시금 채워나가는 행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하며, “특히 다수 인원이 참여하는 행사인 만큼 안전 관리와 비상 대응 체계도 철

태안군가족센터, 다문화가정 대상 캠핑 프로그램 성료

태안군가족센터가 관내 다문화가정의 소통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캠핑 프로그램을 마련해 호응을 얻었다. 군에 따르면, 센터는 관내 다문화가정 기초학습 대상자 10가족을 대상으로 지난 5~6일 이틀간 원북면의 한 캠핑장에서 ‘1박2일 별똥별 탐험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가족 간 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유대감을 높이고 자녀들의 학습 스트레스를 해소를 돕기 위한 것으로, 참여자들은 가족 요리대회와 식사, 레크리에이션, 가족 협동 프로그램(샌드위치 만들기, 가족사진 액자 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함께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센터 관계자는 “다문화가족들이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번 캠핑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다문화가정의 순조로운 적응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2025년 평택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 취업 지원 사업

평택시가족센터는 지난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라온요양원, 늘푸른요양원, 환타지아노인복지센터와 결혼이민자의 요양보호사 실습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평택시가족센터의 ‘모두잡(JOB)고!’ 요양보호사 자격증반 실습 교육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교육 수료 후 결혼이민자들의 현장 실습과 취업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성영 센터장은 “이번 협약이 결혼이민자들의 전문 역량 강화와 안정적인 취업 기반 마련에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라온요양원 지미경 원장은 “결혼이민자들이 현장에서 실습하며 전문성을 쌓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늘푸른요양원 박예현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결혼이민자들이 배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환타지아노인복지센터 김태원 센터장은 “결혼이민자들이 요양 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업무협약(MOU)을 맺은 기관들은 결혼이민자의 직무능력 향상과 안정적 취업 지원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