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Sa post office o tanggapan ng koreo, ang ilang komersyal na bangko ay naniningil ng 0 won!

우체국에선 일부 시중은행 업무 수수료가 0원!

 

Sa kasalukuyan, maraming tao ang gumagamit ng mga mobile app upang magsagawa ng mga gawaing pinansyal tulad ng mga paglilipat o pagpapadala ng pera. Hindi lang halos lahat ng bagay kaya mong hawakan nang hindi pumunta sa bangko, ngunit 'libre' ang mga bayarin, maliban sa napakaespesyal na mga kaso.

 

May kasabihan na, "Hindi mo alam kung paano basain ang iyong damit sa ambon." Ang mga bayarin sa pagdedeposito at pag-withdraw ay karaniwang mula sa ilang daang won hanggang sa wala pang 1,000 won. Maaaring hindi ito malaking halaga sa ngayon, ngunit walang pera na hindi mababasa sa ambon. Natural lamang na ang gayong pera ay dumarating bilang isang pabigat.

 

Sa kabilang banda, maraming mga taong mahina sa pananalapi sa paligid natin na nahihirapang gumamit ng mga mobile app para sa pagbabangko o hindi man lang nasubukan. Totoo na ang pagpapatunay at pagpapatotoo sa pananalapi ay naging mas simple at mas kaunting mga pamamaraan kaysa dati, ngunit ang mga nasa katanghaliang-gulang at matatanda, na mahina sa pananalapi, ay nag-aatubili na gamitin ang app mismo, at higit sa lahat, 'Hindi mahusay sa paggamit nito, kaya mali ang paglilipat ng pera' lubhang natatakot. Kaya, pinipili pa rin nila ang 'analog', kung saan bumibisita sila sa mga counter o bumisita sa mga ATM nang personal, kaysa sa 'digital' na kinakatawan ng mga mobile app.

 

Ang mga customer ng apat na pangunahing komersyal na bangko - Kookmin, Shinhan, Woori at Hana - ay maaaring gumamit ng deposito at pag-withdraw, pagtatanong at mga serbisyo ng ATM nang walang karagdagang bayad na2,500 sa mga post office sa buong bansa. Ang IBK Industrial Bank, KDB Industrial Bank, Citibank, at Jeonbuk Bank ay mga bangko na ginamit sa nakaraan. Sa partikular, ang mga libreng bayad sa post office ay inaasahang magiging malaking tulong sa mga mahina sa pananalapi, na kailangang bumisita sa mga bangko sa malalayong lugar.

 

Halimbawa, si Mr.A, na nakatira sa isang maliit na bayan ng probinsiya at gumagamit ng Kookmin Bank, ay gumagamit ng smartphone, ngunit hindi gumagamit ng financial app dahil nakakatakot ito at kumplikado ang pamamaraan. Gayunpaman, walang sangay ng Kookmin Bank na malapit sa kung saan ito nakatira, at sa halip ay mayroong post office kung saan available ang mga serbisyong pinansyal. Narinig knina ni Mr.A ang balita na libre sa post office ang bayad at nagpasyang asikasuhin ang lamapas na sa taning na trabaho.

 

Nagpasya akong magdeposito ng 1 milyong won sa Kookmin Bank, magpadala ng 100,000 won at 150,000 won bawat isa sa dalawang kakilala, at magpadala ng 200,000 won sa aking mga magulang. At nagkaroon ng kasal sa lalong madaling panahon, kaya nagpasya akong mag-withdraw ng 100,000 won. Kung idadagdag mo ang tinatayang bayad, lalabas ito sa humigit-kumulang 3250 won. Ito ay makabuluhang pera upang bumili ng isang tinapay sa isang panaderya.

 

Gayunpaman, sa hinaharap, maaari mong maranasan ang 'magic' ng bayad na ito na 0 won. Isang matalinong pamumuhay ang mag-ipon hangga't maaari sa kung ano ang maaaring ipunin sa mga araw na ito ng pagtaas ng mga rate ng interes at sa panahon ng "pagtitipid." Sa lahat ng paraan, ang patakarang ito ay maaaring maging isang 'maliit ngunit siguradong pagtitipid' para sa mga nahihirapan dahil malayo ang bangko na ginagamit.

 

Diretso akong nag-check sa post office ATM para malaman kung libre ang bayad. Mga bayarin na naka-print bilang '0 won'. Tila ito ay mahusay na inilapat sa network ng computer ng mga awtomatikong device. Mas maganda kung ang mga hakbang na ito, na direkta at positibong nakakaapekto sa pang-araw-araw na buhay ng mga tao, ay palawakin.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데스 시민기자ㅣ요즘 이체나 송금 등 금융 업무를 볼 때,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직접 은행에 가지 않아도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수료가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료’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다. 입출금 수수료, 보통은 몇백 원에서 많으면 1000원 이내로 내게 되는데 당장은 큰 금액이 아닐 수 있지만 수수료만큼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돈도 없다. 이런 돈이 모이면 부담으로 다가오는 건 당연지사다.

 

한편, 은행 모바일 앱 사용을 어려워하거나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금융취약계층이 우리 주변에 많다. 예전에 비해 본인인증, 금융인증 등이 간편해지고 절차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금융취약계층인 중장년층, 어르신은 앱 자체의 이용을 꺼려하고 무엇보다도 ‘내가 조작을 잘 하지 못해서 돈이 잘못 송금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무척이나 두려워한다. 그래서 이들은 모바일 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이 아닌 여전히 창구 방문, ATM기를 직접 찾아가는 ‘아날로그’를 택한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고객들이 전국 2500여 개 우체국에서 별도 수수료 없이 입출금, 조회 및 AT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BK 기업은행, KDB 산업은행, 시티은행, 전북은행은 기존에도 적용되던 은행이다. 특히, 우체국 수수료 무료는 먼 곳의 은행을 방문해야 했던 금융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지방 소도시에 살고 국민은행을 주로 이용하는 A씨는 스마트폰을 쓰긴 하지만, 금융 앱은 무섭기도 하고 절차가 복잡해서 이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는 곳 근처에는 국민은행 점포가 없고, 대신 금융 업무가 가능한 우체국이 있다. A씨는 얼마 전 우체국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는 소식을 듣고 밀린 업무를 처리하기로 했다. 

 

현금 100만 원을 국민은행으로 입금하고 지인 2명에게 각각 10만 원, 15만 원씩 송금, 부모님께 용돈 20만 원을 보내기로 했다. 그리고 곧 결혼식이 있어 10만 원을 출금하기로 했다. 대략적인 수수료를 더해보면 3250원 정도가 나온다. 빵집에서 식빵 하나를 사먹을 수 있는 의미있는 돈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수수료가 0원이 되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요즘 같은 금리 인상기, ‘긴축’의 시대에서는 아낄 수 있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아끼는 게 현명한 생활습관이다. 아무쪼록 이번 정책은 내가 쓰는 은행이 멀어 난감했던 분들에게 ‘소확절(소소하지만 확실한 절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직접 우체국 ATM기에서 수수료가 면제되는지 확인해보았다. ‘0원’으로 출력되는 수수료. 자동화기기 전산망에 잘 적용된 듯했다. 국민 일상생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런 조치들이 좀 더 확대되면 좋을 것 같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5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다문화가족 자녀어발달지원사업 이천시에 거주중인 만 12세이하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이천시가족센터는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대상자를 모집하고 있다. 외국인가족, 북한이탈주민도 지원이 가능하며 △언어평가 △언어발달교육 △부모상담 및 교육 △사후관리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이천시가족센터 내 언어발달교실에서 진행할 예정이며, 신청은 센터를 방문하거나 전화(070 4176-5151)로 하면 된다. 관련 문의는 전화(070-4866 0204)로 하면 된다. ■ 이중언어 교육대상자 모집 이천시가족센터는 만 18세 이하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육 대상자를 모집한다고 전했다. 교육 언어는 △중국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일본어이며 원어민 강사가 이중언어교육을 제공한다. 교육은 2월부터 11월까지 언어별 교육일정이 다르므로 별도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교육비용은 무료다. 교육 문의는 이천시가족센터 사업3팀 이중언어 코치(070-4866-0207) 로 하면 된다. ■ 2025년 결혼이민자 취업교육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를

성남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녀 정서지원사업 업무협약 체결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4월 29일 2025년 다문화가족 자녀 정서지원사업을 위한 상호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업무협약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발달심리센터 △도촌종합사회복지관 △산성동복지회관 △은행종합 사회복지관 △판교종합사회복지관이 참여하여 진행했다. 이번 사업은 성남시에서 지원되는 사업비로 운영되며, 성남시에 거주하는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발달지연 아동과 심리ㆍ정서적 회복을 위한 검사비 및 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당 협약을 통해 대상자 거주지 주변 근거리에 위치한 지역사회복지기관 및 치료센터 이용을 통해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여, 적극적인 치료 환경을 조성한다. 저소득 가정의 경우 검사비 및 치료비의 일부를 성남시가족센터에서 지원 하여 바우처를 사용할 수 없었던 가정에 경제적 부담 경감으로 치료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코로나 베이비, 느린 학습자에 대한 조기개입을 위한 발달검사비를 지원하고, 부모의 양육 코칭 및 상담을 통해 가정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돌봄을 통해 미래사회 주역인 아동의 건강한 성장에

충주시가족센터, 결혼이주여성 역사박물관 탐방

충주시가족센터는 29일 결혼이주여성들과 함께 서울에 있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방문해 역사 탐방을 진행했다 이번 탐방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진행하는 ‘2025 문화나눔 체험교육-광화문에서 만나요’ 행사에 충주시가족센터 다문화교류 소통공간 ‘다가온’이 선정돼 추진됐다. 행사에는 베트남, 중국, 방글라데시 결혼이주여성 13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국적취득을 준비 중인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국적취득시험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과목 중 하나인 대한민국 역사를 재미있고 쉽게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참가자들은 △한국 근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강의 △광화문 답사 및 미션 수행 △역사전시관과 덕수궁 관람을 진행하며, 영상과 체험으로 대한민국 역사를 생생하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베트남 출신 참가자인 누엔녹마이씨는 “국적취득 공부 중 한국 역사가 가장 어렵고 힘들었는데, 이곳에 와서 직접 듣고 보면서 역사 흐름이 파악돼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심재석 센터장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의 역사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힐링하는 시간도 가진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충주시가족센터는 결혼이주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