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At the post office, some commercial bank business fees are 0 won!

우체국에선 일부 시중은행 업무 수수료가 0원!

 

These days, there are many people who use mobile apps when they do financial work such as transfer or remittance. Not only can you handle almost everything without going to the bank directly, but the fee is "free" except in very special cases. 

 

There is a saying, "Many a little makes a mickle." Deposit and withdrawal fees, usually hundreds of won to less than 1,000 won, may not be as big right now, but there is no money like the fees that are suitable to the saying. It is natural for such money to come as a burden when it is collect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financially vulnerable people around us who have difficulty using bank mobile apps or cannot even try them. It is true that personal authentication and financial authentication have become easier and fewer procedures than before, but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ho are financially vulnerable, are reluctant to use the app itself and are most afraid of "whether money is transferred incorrectly because I am not good at manipulating it." Therefore, they still choose "analog," which visits the window and visits ATMs directly, rather than "digital," which is represented by mobile apps. 

 

Customers of the four major commercial banks, Kookmin, Shinhan, Woori, and Hana, can use deposit and withdrawal, inquiry, and ATM services at more than 2,500 post offices nationwide without any additional fees. IBK Industrial Bank, KDB Bank, Citibank, and Jeonbuk Bank are banks that were previously applied. In particular, the free post office fee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the financially vulnerable who had to visit distant banks. 

 

For example, a person ‘A’, who lives in a local small city and mainly uses Kookmin Bank, uses a smartphone, but does not use financial apps because they are scary and complicated. However, there is no Kookmin Bank near where ‘A’ lives, and there is a post office where financial work is available instead. ‘A’ recently heard that the fee would be exempted at the post office, so he or she decided to deal with the backlog. 

 

Suppose one decided to deposit 1 million won in cash to Kookmin Bank, transfer 100,000 won and 150,000 won to two acquaintances, respectively, send spending money of 200,000 won to their parents, and decided to withdraw 100,000 won because there was a wedding soon. If you add the approximate fee, you will get about 3,250 won. It is a meaningful money to buy a bread at a bakery. 

 

However, in the future, you can experience a "magic" in which this fee becomes 0 won. These days, in the era of interest rate hikes and "belt-tightening", it is a wise lifestyle to save as much as possible. This policy could be a "small but certain saving" for those who were in trouble because their banks were far away. 

 

I, the reporter, personally checked if the fee is exempted from the post office ATM. a fee printed as '0 won' It seemed to be well applied to the computer network of automated devices. It would be nice if these measures, which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could be further expanded.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심민정 기자ㅣ요즘 이체나 송금 등 금융 업무를 볼 때,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직접 은행에 가지 않아도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수료가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료’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다. 입출금 수수료, 보통은 몇백 원에서 많으면 1000원 이내로 내게 되는데 당장은 큰 금액이 아닐 수 있지만 수수료만큼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돈도 없다. 이런 돈이 모이면 부담으로 다가오는 건 당연지사다.

 

한편, 은행 모바일 앱 사용을 어려워하거나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금융취약계층이 우리 주변에 많다. 예전에 비해 본인인증, 금융인증 등이 간편해지고 절차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금융취약계층인 중장년층, 어르신은 앱 자체의 이용을 꺼려하고 무엇보다도 ‘내가 조작을 잘 하지 못해서 돈이 잘못 송금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무척이나 두려워한다. 그래서 이들은 모바일 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이 아닌 여전히 창구 방문, ATM기를 직접 찾아가는 ‘아날로그’를 택한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고객들이 전국 2500여 개 우체국에서 별도 수수료 없이 입출금, 조회 및 AT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BK 기업은행, KDB 산업은행, 시티은행, 전북은행은 기존에도 적용되던 은행이다. 특히, 우체국 수수료 무료는 먼 곳의 은행을 방문해야 했던 금융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지방 소도시에 살고 국민은행을 주로 이용하는 A씨는 스마트폰을 쓰긴 하지만, 금융 앱은 무섭기도 하고 절차가 복잡해서 이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는 곳 근처에는 국민은행 점포가 없고, 대신 금융 업무가 가능한 우체국이 있다. A씨는 얼마 전 우체국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는 소식을 듣고 밀린 업무를 처리하기로 했다. 

 

현금 100만 원을 국민은행으로 입금하고 지인 2명에게 각각 10만 원, 15만 원씩 송금, 부모님께 용돈 20만 원을 보내기로 했다. 그리고 곧 결혼식이 있어 10만 원을 출금하기로 했다. 대략적인 수수료를 더해보면 3250원 정도가 나온다. 빵집에서 식빵 하나를 사먹을 수 있는 의미있는 돈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수수료가 0원이 되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요즘 같은 금리 인상기, ‘긴축’의 시대에서는 아낄 수 있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아끼는 게 현명한 생활습관이다. 아무쪼록 이번 정책은 내가 쓰는 은행이 멀어 난감했던 분들에게 ‘소확절(소소하지만 확실한 절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직접 우체국 ATM기에서 수수료가 면제되는지 확인해보았다. ‘0원’으로 출력되는 수수료. 자동화기기 전산망에 잘 적용된 듯했다. 국민 일상생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런 조치들이 좀 더 확대되면 좋을 것 같다.